본문 바로가기
2010.02.08 22:32

백지 와 그라노!

조회 수 718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백지 와 그라노!

‘무단시, 무담시, 무담씨’ 등이 표준어 ‘괜히’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전라도 고장말이라면 ‘백지’는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고장말 ‘백지’는 ‘농사가 안 되어 거두어들일 것이 없는 땅’ 또는 ‘정해진 근거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한자어 ‘백지’(白地)에서 유래한 말로, 경북 지역에서보다는 경남 지역에서 더 활발하게 쓰인다. “뭐 말인교? 백지 이 어른이 와 그런 소리 자꾸 해 쌓는교?”(<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여보, 당신 우리가 백지 간다 쿤께네 참으로 가는 줄 압니까? 배꼍에 딱 서가 있다가 그래 왔는데….”(위 책) 어느 소설의 한 구절에서는 ‘백찌’와 같이 나타나는데, 이는 표기상의 차이일 뿐이다. “허헛따나 십장 사둔은, 넘우 뒈세기병(두통) 좀 나수겄다고 요라는디, 백찌 나서 각고, 훼방헐 것은 없잖냐고.”(<죽음의 한 연구> 박상륭)

‘백지’의 또 다른 형태는 ‘배끼’ 혹은 ‘백지이’이다. ‘배끼’는 ‘백지>백찌>배찌>배끼’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이다. “술집 주모가 말이지 배끼 따라와 가주고….”(<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백지이’는 ‘백지’에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것이다. “백지이 짚은 산꼴을 드가는 기라 인제.”(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1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7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750
1918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45
1917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336
1916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72
1915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738
1914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089
1913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091
1912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517
1911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005
1910 배부, 배포 바람의종 2012.03.05 19313
1909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67
1908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00
1907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060
1906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94
1905 배워 주다 바람의종 2010.01.23 11278
1904 배제의 용어, '학번' / '둠벙'과 생태계 風文 2020.07.10 1998
1903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37
1902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35
1901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217
1900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38
1899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24
1898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17
1897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2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