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8 22:32

백지 와 그라노!

조회 수 7199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백지 와 그라노!

‘무단시, 무담시, 무담씨’ 등이 표준어 ‘괜히’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전라도 고장말이라면 ‘백지’는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고장말 ‘백지’는 ‘농사가 안 되어 거두어들일 것이 없는 땅’ 또는 ‘정해진 근거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한자어 ‘백지’(白地)에서 유래한 말로, 경북 지역에서보다는 경남 지역에서 더 활발하게 쓰인다. “뭐 말인교? 백지 이 어른이 와 그런 소리 자꾸 해 쌓는교?”(<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여보, 당신 우리가 백지 간다 쿤께네 참으로 가는 줄 압니까? 배꼍에 딱 서가 있다가 그래 왔는데….”(위 책) 어느 소설의 한 구절에서는 ‘백찌’와 같이 나타나는데, 이는 표기상의 차이일 뿐이다. “허헛따나 십장 사둔은, 넘우 뒈세기병(두통) 좀 나수겄다고 요라는디, 백찌 나서 각고, 훼방헐 것은 없잖냐고.”(<죽음의 한 연구> 박상륭)

‘백지’의 또 다른 형태는 ‘배끼’ 혹은 ‘백지이’이다. ‘배끼’는 ‘백지>백찌>배찌>배끼’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이다. “술집 주모가 말이지 배끼 따라와 가주고….”(<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백지이’는 ‘백지’에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것이다. “백지이 짚은 산꼴을 드가는 기라 인제.”(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29
207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75
2071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60
2070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263
2069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84
2068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25
2067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93
2066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902
2065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438
2064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2157
2063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98
2062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52
2061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800
206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731
2059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48
2058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375
2057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390
2056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11
205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982
2054 무꾸리 風磬 2006.11.26 8147
2053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853
2052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17
205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