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8 22:32

백지 와 그라노!

조회 수 7209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백지 와 그라노!

‘무단시, 무담시, 무담씨’ 등이 표준어 ‘괜히’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전라도 고장말이라면 ‘백지’는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고장말 ‘백지’는 ‘농사가 안 되어 거두어들일 것이 없는 땅’ 또는 ‘정해진 근거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한자어 ‘백지’(白地)에서 유래한 말로, 경북 지역에서보다는 경남 지역에서 더 활발하게 쓰인다. “뭐 말인교? 백지 이 어른이 와 그런 소리 자꾸 해 쌓는교?”(<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여보, 당신 우리가 백지 간다 쿤께네 참으로 가는 줄 압니까? 배꼍에 딱 서가 있다가 그래 왔는데….”(위 책) 어느 소설의 한 구절에서는 ‘백찌’와 같이 나타나는데, 이는 표기상의 차이일 뿐이다. “허헛따나 십장 사둔은, 넘우 뒈세기병(두통) 좀 나수겄다고 요라는디, 백찌 나서 각고, 훼방헐 것은 없잖냐고.”(<죽음의 한 연구> 박상륭)

‘백지’의 또 다른 형태는 ‘배끼’ 혹은 ‘백지이’이다. ‘배끼’는 ‘백지>백찌>배찌>배끼’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이다. “술집 주모가 말이지 배끼 따라와 가주고….”(<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백지이’는 ‘백지’에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것이다. “백지이 짚은 산꼴을 드가는 기라 인제.”(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54
2072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86
2071 기지개를 펴다, 피해를 입다 바람의종 2008.12.28 11059
2070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116
2069 승락, 승낙 바람의종 2008.12.28 13796
2068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19
2067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379
2066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703
2065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31
2064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622
2063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31
2062 담배를 피다 바람의종 2009.02.03 11217
2061 경사가 가파라서 바람의종 2009.02.03 11874
2060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42
2059 색감 바람의종 2009.02.04 6413
2058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593
2057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83
2056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30
2055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326
2054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511
2053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43
205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091
2051 재(齋)/제(祭) 바람의종 2009.02.07 109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