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8 22:32

백지 와 그라노!

조회 수 7224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백지 와 그라노!

‘무단시, 무담시, 무담씨’ 등이 표준어 ‘괜히’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전라도 고장말이라면 ‘백지’는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고장말 ‘백지’는 ‘농사가 안 되어 거두어들일 것이 없는 땅’ 또는 ‘정해진 근거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한자어 ‘백지’(白地)에서 유래한 말로, 경북 지역에서보다는 경남 지역에서 더 활발하게 쓰인다. “뭐 말인교? 백지 이 어른이 와 그런 소리 자꾸 해 쌓는교?”(<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여보, 당신 우리가 백지 간다 쿤께네 참으로 가는 줄 압니까? 배꼍에 딱 서가 있다가 그래 왔는데….”(위 책) 어느 소설의 한 구절에서는 ‘백찌’와 같이 나타나는데, 이는 표기상의 차이일 뿐이다. “허헛따나 십장 사둔은, 넘우 뒈세기병(두통) 좀 나수겄다고 요라는디, 백찌 나서 각고, 훼방헐 것은 없잖냐고.”(<죽음의 한 연구> 박상륭)

‘백지’의 또 다른 형태는 ‘배끼’ 혹은 ‘백지이’이다. ‘배끼’는 ‘백지>백찌>배찌>배끼’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이다. “술집 주모가 말이지 배끼 따라와 가주고….”(<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백지이’는 ‘백지’에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것이다. “백지이 짚은 산꼴을 드가는 기라 인제.”(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5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63
2424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331
2423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34
2422 발르세요? 바람의종 2008.03.14 7335
2421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36
2420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38
2419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340
2418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40
2417 바캉스 바람의종 2008.02.12 7341
2416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43
2415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346
2414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348
2413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48
2412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48
2411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351
2410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60
2409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61
2408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62
2407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2406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363
2405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366
2404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368
2403 대비, 대처 바람의종 2012.06.26 73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