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7 21:20

‘그러지 좀 마라’

조회 수 776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러지 좀 마라’

우리말의 용언(풀이씨)에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있다. 동사는 본동사와 조동사로, 형용사는 본형용사와 보조형용사로 나뉜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문장에서 어떤 경우에도 따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 본용언이 먼저 오고 보조용언이 뒤따른다. “가지 마라”는 문장에서 ‘가지’는 본동사이고 ‘마라’는 조동사이다. 이때 ‘가지’와 ‘마라’ 사이에는 어떤 단어도 형태소도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딱 하나의 예외가 있다. 본동사에 조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세월아 가지를 마라”에서 본동사 ‘가지’ 뒤에 붙은 ‘를’이 조사이다. 이때 들어가는 조사는 보조사다. 격조사는 문장 속 낱말의 격(格)을 표시하고, 보조사는 뜻을 더한다. 보조사가 격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주된 기능은 뜻을 더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의 보조사는 격을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지를 마라”에서 ‘를’은 목적격 조사가 아니고 ‘가지를’은 당연히 목적어가 아니다.

그런데 근래 들어 이 규칙이 슬슬 깨어지고 있다. “제발 그러지 좀 말았으면 한다”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에 ‘좀’이라는 부사가 들어가 있다. 규칙대로라면 “제발 좀 그러지 마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런 표현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입말로 흔히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글말에까지 침투한 것을 보면 하나의 문장 구조로 자리잡은 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12
207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30
2071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21
2070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096
2069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68
2068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00
2067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61
2066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74
2065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10
2064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2054
2063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76
2062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04
2061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786
206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587
2059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21
2058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207
2057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346
2056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573
205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846
2054 무꾸리 風磬 2006.11.26 8032
2053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710
2052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098
205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0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