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7 21:20

‘그러지 좀 마라’

조회 수 775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러지 좀 마라’

우리말의 용언(풀이씨)에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있다. 동사는 본동사와 조동사로, 형용사는 본형용사와 보조형용사로 나뉜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문장에서 어떤 경우에도 따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 본용언이 먼저 오고 보조용언이 뒤따른다. “가지 마라”는 문장에서 ‘가지’는 본동사이고 ‘마라’는 조동사이다. 이때 ‘가지’와 ‘마라’ 사이에는 어떤 단어도 형태소도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딱 하나의 예외가 있다. 본동사에 조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세월아 가지를 마라”에서 본동사 ‘가지’ 뒤에 붙은 ‘를’이 조사이다. 이때 들어가는 조사는 보조사다. 격조사는 문장 속 낱말의 격(格)을 표시하고, 보조사는 뜻을 더한다. 보조사가 격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주된 기능은 뜻을 더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의 보조사는 격을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지를 마라”에서 ‘를’은 목적격 조사가 아니고 ‘가지를’은 당연히 목적어가 아니다.

그런데 근래 들어 이 규칙이 슬슬 깨어지고 있다. “제발 그러지 좀 말았으면 한다”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에 ‘좀’이라는 부사가 들어가 있다. 규칙대로라면 “제발 좀 그러지 마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런 표현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입말로 흔히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글말에까지 침투한 것을 보면 하나의 문장 구조로 자리잡은 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68
2072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7895
2071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895
207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96
2069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900
2068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00
2067 서낭당 風磬 2006.12.29 7900
2066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04
2065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04
2064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06
2063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07
2062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08
2061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909
2060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910
2059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12
2058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15
2057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16
2056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7919
2055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19
2054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2
2053 바람의종 2009.07.31 7926
2052 매무시 風磬 2006.11.26 7927
2051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