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7 21:20

‘그러지 좀 마라’

조회 수 792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러지 좀 마라’

우리말의 용언(풀이씨)에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있다. 동사는 본동사와 조동사로, 형용사는 본형용사와 보조형용사로 나뉜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문장에서 어떤 경우에도 따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 본용언이 먼저 오고 보조용언이 뒤따른다. “가지 마라”는 문장에서 ‘가지’는 본동사이고 ‘마라’는 조동사이다. 이때 ‘가지’와 ‘마라’ 사이에는 어떤 단어도 형태소도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딱 하나의 예외가 있다. 본동사에 조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세월아 가지를 마라”에서 본동사 ‘가지’ 뒤에 붙은 ‘를’이 조사이다. 이때 들어가는 조사는 보조사다. 격조사는 문장 속 낱말의 격(格)을 표시하고, 보조사는 뜻을 더한다. 보조사가 격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주된 기능은 뜻을 더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의 보조사는 격을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지를 마라”에서 ‘를’은 목적격 조사가 아니고 ‘가지를’은 당연히 목적어가 아니다.

그런데 근래 들어 이 규칙이 슬슬 깨어지고 있다. “제발 그러지 좀 말았으면 한다”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에 ‘좀’이라는 부사가 들어가 있다. 규칙대로라면 “제발 좀 그러지 마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런 표현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입말로 흔히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글말에까지 침투한 것을 보면 하나의 문장 구조로 자리잡은 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5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42
2578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608
2577 노일전쟁 바람의종 2010.06.19 11894
2576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8
2575 노파심 바람의종 2010.11.01 13472
2574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265
2573 녹녹지 않다 바람의종 2010.03.30 12209
2572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96
2571 녹초가 되다 바람의종 2010.03.06 10589
2570 녹초가 되다 바람의종 2007.12.30 9704
2569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609
2568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96
2567 놀라다 / 놀래다 바람의종 2010.07.26 16958
2566 놀잇감, 장난감 바람의종 2010.04.01 5959
2565 놈팽이 바람의종 2010.06.08 13810
2564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47
2563 농성 바람의종 2007.06.12 6934
2562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826
2561 뇌까리다 風磬 2006.10.30 11299
2560 뇌살, 뇌쇄 / 다례, 차례 / 금슬, 금술, 금실 / 귀절, 구절 바람의종 2010.03.24 14609
2559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43
2558 뇌졸증/뇌졸중 바람의종 2008.09.02 8603
2557 누겁다/ 서겁다 바람의종 2008.02.22 7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