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7 21:20

‘그러지 좀 마라’

조회 수 779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러지 좀 마라’

우리말의 용언(풀이씨)에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있다. 동사는 본동사와 조동사로, 형용사는 본형용사와 보조형용사로 나뉜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문장에서 어떤 경우에도 따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 본용언이 먼저 오고 보조용언이 뒤따른다. “가지 마라”는 문장에서 ‘가지’는 본동사이고 ‘마라’는 조동사이다. 이때 ‘가지’와 ‘마라’ 사이에는 어떤 단어도 형태소도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딱 하나의 예외가 있다. 본동사에 조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세월아 가지를 마라”에서 본동사 ‘가지’ 뒤에 붙은 ‘를’이 조사이다. 이때 들어가는 조사는 보조사다. 격조사는 문장 속 낱말의 격(格)을 표시하고, 보조사는 뜻을 더한다. 보조사가 격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주된 기능은 뜻을 더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의 보조사는 격을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지를 마라”에서 ‘를’은 목적격 조사가 아니고 ‘가지를’은 당연히 목적어가 아니다.

그런데 근래 들어 이 규칙이 슬슬 깨어지고 있다. “제발 그러지 좀 말았으면 한다”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에 ‘좀’이라는 부사가 들어가 있다. 규칙대로라면 “제발 좀 그러지 마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런 표현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입말로 흔히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글말에까지 침투한 것을 보면 하나의 문장 구조로 자리잡은 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55
2578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603
2577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849
2576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465
2575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60
2574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638
2573 률과 율 바람의종 2008.04.16 8437
2572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239
2571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577
2570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76
2569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406
2568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898
2567 지프와 바바리 바람의종 2008.04.19 8649
2566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665
2565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0971
2564 설거지나 하세요. (게와 께) 바람의종 2008.04.20 7381
2563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366
2562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112
2561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781
2560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545
2559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6899
2558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843
2557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9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