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7 21:20

‘그러지 좀 마라’

조회 수 780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러지 좀 마라’

우리말의 용언(풀이씨)에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있다. 동사는 본동사와 조동사로, 형용사는 본형용사와 보조형용사로 나뉜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문장에서 어떤 경우에도 따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 본용언이 먼저 오고 보조용언이 뒤따른다. “가지 마라”는 문장에서 ‘가지’는 본동사이고 ‘마라’는 조동사이다. 이때 ‘가지’와 ‘마라’ 사이에는 어떤 단어도 형태소도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딱 하나의 예외가 있다. 본동사에 조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세월아 가지를 마라”에서 본동사 ‘가지’ 뒤에 붙은 ‘를’이 조사이다. 이때 들어가는 조사는 보조사다. 격조사는 문장 속 낱말의 격(格)을 표시하고, 보조사는 뜻을 더한다. 보조사가 격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주된 기능은 뜻을 더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의 보조사는 격을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지를 마라”에서 ‘를’은 목적격 조사가 아니고 ‘가지를’은 당연히 목적어가 아니다.

그런데 근래 들어 이 규칙이 슬슬 깨어지고 있다. “제발 그러지 좀 말았으면 한다”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에 ‘좀’이라는 부사가 들어가 있다. 규칙대로라면 “제발 좀 그러지 마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런 표현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입말로 흔히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글말에까지 침투한 것을 보면 하나의 문장 구조로 자리잡은 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59
2578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871
2577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75
2576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876
2575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77
2574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880
2573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884
2572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6884
2571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885
2570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86
2569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바람의종 2010.01.09 6892
2568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893
2567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896
2566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99
2565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6899
2564 쟈고미 바람의종 2009.08.27 6901
2563 개인 날 / 갠날, (-이-)의 표기오류 바람의종 2008.06.14 6901
2562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902
2561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6902
2560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902
2559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903
2558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06
2557 싸다 바람의종 2008.04.07 69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