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6 21:52

문화어에 오른 방언

조회 수 8417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문화어에 오른 방언

북쪽에서는 평양 중심의 공용어를 ‘문화어’로 부르고 있다. 이는 김일성 주석이 1966년 5월의 제2차 교시에서 “그런데 ‘표준어’라고 하는 말은 다른 말로 바꾸어야 하겠습니다. … ‘문화어’란 것도 그리 좋은 것은 못 되지만 그래도 그렇게 고쳐 쓰는 것이 낫습니다”라고 한 것에 따른 것이다. 이에서 ‘문화어’라는 명칭은 남한의 ‘표준어’를 피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북쪽에서는 4000 정도의 방언을 문화어로 격상시킨 일이 있는데 이들은 남쪽에서는 대체로 쓰이지 않는 말이다.

‘그하다’는 빠짐없이 충분히 다 갖추어져 있다는 뜻인데 “우리 농장원들은 집집마다 재봉기, 라지오, 텔레비죤, 시계 등 집 세간들을 그하게 차려 놓고 있다”와 같이 쓰이고, ‘눅다’는 물건값이 일정한 기준보다 적다는 뜻인데 “외조 할머니가 파는 떡도 눅어야 사 먹는다”, “외할미 술도 눅어야 사 먹는다” 등의 용례가 보인다. ‘눅다’는 말은 남쪽 어느 지방에서도 일부는 쓰이는 듯하다. 한편 ‘망탕’이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김일성 주석이 즐겨 사용하여 이른바 제1차 교시(1964년 1월), 제2차 교시에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 되는대로 마구 한다는 의미이다. 또 ‘숙보다’는 깔보거나 업신여긴다는 뜻으로 “햇내기라고 숙보지 말아요”와 같은 문장에 쓰인다. 이상의 풀이나 예문은 모두 <조선말대사전>(2006~2007)에 따른 것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5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99
1830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09
1829 비후까스 바람의종 2008.02.13 8511
1828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511
1827 ‘-빼기’가 붙는 말 바람의종 2010.01.18 8513
1826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19
1825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20
1824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27
1823 바람의종 2007.03.31 8529
182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538
1821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538
1820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38
1819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39
1818 단골집 風磬 2006.11.06 8540
1817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542
1816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43
1815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45
1814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45
1813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48
1812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548
1811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50
1810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54
1809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