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6 21:52

문화어에 오른 방언

조회 수 8408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문화어에 오른 방언

북쪽에서는 평양 중심의 공용어를 ‘문화어’로 부르고 있다. 이는 김일성 주석이 1966년 5월의 제2차 교시에서 “그런데 ‘표준어’라고 하는 말은 다른 말로 바꾸어야 하겠습니다. … ‘문화어’란 것도 그리 좋은 것은 못 되지만 그래도 그렇게 고쳐 쓰는 것이 낫습니다”라고 한 것에 따른 것이다. 이에서 ‘문화어’라는 명칭은 남한의 ‘표준어’를 피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북쪽에서는 4000 정도의 방언을 문화어로 격상시킨 일이 있는데 이들은 남쪽에서는 대체로 쓰이지 않는 말이다.

‘그하다’는 빠짐없이 충분히 다 갖추어져 있다는 뜻인데 “우리 농장원들은 집집마다 재봉기, 라지오, 텔레비죤, 시계 등 집 세간들을 그하게 차려 놓고 있다”와 같이 쓰이고, ‘눅다’는 물건값이 일정한 기준보다 적다는 뜻인데 “외조 할머니가 파는 떡도 눅어야 사 먹는다”, “외할미 술도 눅어야 사 먹는다” 등의 용례가 보인다. ‘눅다’는 말은 남쪽 어느 지방에서도 일부는 쓰이는 듯하다. 한편 ‘망탕’이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김일성 주석이 즐겨 사용하여 이른바 제1차 교시(1964년 1월), 제2차 교시에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 되는대로 마구 한다는 의미이다. 또 ‘숙보다’는 깔보거나 업신여긴다는 뜻으로 “햇내기라고 숙보지 말아요”와 같은 문장에 쓰인다. 이상의 풀이나 예문은 모두 <조선말대사전>(2006~2007)에 따른 것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07
884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6
883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87
882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20
881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42
88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07
879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68
878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56
877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717
876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16
875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86
874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50
873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84
872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03
871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37
870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817
869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83
868 맞히다와 맞추다 바람의종 2010.02.06 10708
867 아르바이트 바람의종 2010.02.06 8035
»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08
865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64
864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바람의종 2010.01.28 13379
863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