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8 12:33

무단시 왜 그리 쌓소!

조회 수 763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무단시’는 표준어 ‘괜히’에 대응하는 고장말, 전남과 전북의 전주 이남 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무단시’는 ‘사전에 허락이 없음 또는 사유를 말함이 없음’이라는 뜻을 갖는 한자어 ‘무단’(無斷)과 부사를 만드는 토 ‘-히’가 결합된 ‘무단히’가 ‘무단히>무단시’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붕알 달린 놈들찌리 무단시 입은 왜 맞추고 야단이다요?”(<완장> 윤흥길) “나 듣는 연에나 말허까, 무단시 비얌맹이로 그 방정맞은 셋바닥 조께 날룽거리지 말란 말이여.”(<혼불> 최명희) ‘무단히>무단시’와 같은 소리의 변화는 일반적인 변화는 아니지만 ‘힘>심, 형>셩>성’과 같은 소리의 변화이다. ‘무단시’는 전남의 동부 지역과 인접해 있는 경상도 지역에서도 그 쓰임이 발견된다. “옛날에 허씨라 쿠는 집에 참 부자로 살았는데 하루아침에 무단시 망해 삐맀어.”(<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 거제편)

소리의 차이는 있지만 ‘무단시’와 같은 형태로는 ‘무담시, 무단씨’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또한 전라도 지역에서 주로 쓰이는 고장말이다. “거렁뱅이들이 무담시 당신을 패죽이기라도 할까봐서 그래요?”(<타오르는 강> 문순태) “무담씨 쓰잘디웂는 소리 혀서 사람덜 간떨어지게 맹글지 마씨요.”(<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5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0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84
1280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42
1279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41
1278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738
1277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736
1276 상무성 바람의종 2010.09.29 7736
1275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3
1274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33
1273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32
1272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29
1271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27
1270 다반사 바람의종 2007.06.20 7725
1269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24
1268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23
1267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12
1266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11
1265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10
1264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707
1263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04
1262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03
1261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02
1260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01
1259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6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