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8 12:33

무단시 왜 그리 쌓소!

조회 수 769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무단시’는 표준어 ‘괜히’에 대응하는 고장말, 전남과 전북의 전주 이남 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무단시’는 ‘사전에 허락이 없음 또는 사유를 말함이 없음’이라는 뜻을 갖는 한자어 ‘무단’(無斷)과 부사를 만드는 토 ‘-히’가 결합된 ‘무단히’가 ‘무단히>무단시’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붕알 달린 놈들찌리 무단시 입은 왜 맞추고 야단이다요?”(<완장> 윤흥길) “나 듣는 연에나 말허까, 무단시 비얌맹이로 그 방정맞은 셋바닥 조께 날룽거리지 말란 말이여.”(<혼불> 최명희) ‘무단히>무단시’와 같은 소리의 변화는 일반적인 변화는 아니지만 ‘힘>심, 형>셩>성’과 같은 소리의 변화이다. ‘무단시’는 전남의 동부 지역과 인접해 있는 경상도 지역에서도 그 쓰임이 발견된다. “옛날에 허씨라 쿠는 집에 참 부자로 살았는데 하루아침에 무단시 망해 삐맀어.”(<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 거제편)

소리의 차이는 있지만 ‘무단시’와 같은 형태로는 ‘무담시, 무단씨’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또한 전라도 지역에서 주로 쓰이는 고장말이다. “거렁뱅이들이 무담시 당신을 패죽이기라도 할까봐서 그래요?”(<타오르는 강> 문순태) “무담씨 쓰잘디웂는 소리 혀서 사람덜 간떨어지게 맹글지 마씨요.”(<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98
2072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420
2071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522
2070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71
2069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49
2068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62
2067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70
2066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97
2065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392
2064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501
2063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83
2062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867
2061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97
2060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95
2059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43
2058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239
2057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503
2056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227
2055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609
2054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67
2053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39
2052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663
2051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9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