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8 12:33

무단시 왜 그리 쌓소!

조회 수 768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무단시’는 표준어 ‘괜히’에 대응하는 고장말, 전남과 전북의 전주 이남 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무단시’는 ‘사전에 허락이 없음 또는 사유를 말함이 없음’이라는 뜻을 갖는 한자어 ‘무단’(無斷)과 부사를 만드는 토 ‘-히’가 결합된 ‘무단히’가 ‘무단히>무단시’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붕알 달린 놈들찌리 무단시 입은 왜 맞추고 야단이다요?”(<완장> 윤흥길) “나 듣는 연에나 말허까, 무단시 비얌맹이로 그 방정맞은 셋바닥 조께 날룽거리지 말란 말이여.”(<혼불> 최명희) ‘무단히>무단시’와 같은 소리의 변화는 일반적인 변화는 아니지만 ‘힘>심, 형>셩>성’과 같은 소리의 변화이다. ‘무단시’는 전남의 동부 지역과 인접해 있는 경상도 지역에서도 그 쓰임이 발견된다. “옛날에 허씨라 쿠는 집에 참 부자로 살았는데 하루아침에 무단시 망해 삐맀어.”(<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 거제편)

소리의 차이는 있지만 ‘무단시’와 같은 형태로는 ‘무담시, 무단씨’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또한 전라도 지역에서 주로 쓰이는 고장말이다. “거렁뱅이들이 무담시 당신을 패죽이기라도 할까봐서 그래요?”(<타오르는 강> 문순태) “무담씨 쓰잘디웂는 소리 혀서 사람덜 간떨어지게 맹글지 마씨요.”(<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22
257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964
257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969
2576 원숭이 바람의종 2008.11.13 6970
2575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79
2574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81
2573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바람의종 2010.01.09 6983
2572 잇단, 잇달아 바람의종 2009.07.29 6989
2571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990
2570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91
2569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93
2568 바스크말 바람의종 2008.02.12 6995
2567 낭패 바람의종 2007.06.10 6996
2566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997
2565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998
2564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6998
2563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7003
2562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7007
2561 교육과 새말 바람의종 2007.12.30 7013
2560 ~에 있어서 바람의종 2009.02.10 7014
2559 떼기, 뙈기 바람의종 2008.11.02 7015
2558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7018
2557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70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