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6 11:35

사람 이름 짓기

조회 수 1137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람 이름 짓기

1990년대에 남북한의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이름을 조사한 일이 있다. 남한 교과서에서는 남자 이름에 ‘영수’, 여자 이름에 ‘영주’가 빈도가 가장 높았고, 북한 교과서에서는 남자 이름에 ‘수원’이, 여자 이름에 ‘순희’가 제일 자주 등장하는 이름이었다.

요즈음 유행하는 고유어 이름에는 단어 형태로 된 것이 많아 필자가 아는 ‘예슬’이만 해도 8명 정도이고 지난 학기에는 두 ‘아름’이가 내 강의를 들었는데 이번 학기에는 두 ‘소라’가 내 강의를 듣고 있다. 이름이 단어 형태로 지어지는 것은 북한에서도 마찬가지인데 북한에서 고유어 이름이 지어지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름 짓는 실마리에서 보면 희망과 기대를 반영한 것에 ‘참’, ‘세찰’, ‘억세’, ‘빛남’, ‘슬기’, ‘힘’, ‘시내’, ‘노을’, ‘구슬’, ‘거울’ 등이 있고, 태어난 계절이나 시간을 반영한 것에 봄, 봄이, 여름, 보름, 아침 등이 있다. 또 태어난 고장 이름에서 ‘솔메’, ‘새길’이 있는데 ‘솔메’는 솔메 마을에서 태어난 아이이고, ‘새길’은 새길동에서 태어난 아이이다. 또 태어난 차례가 실마리가 된 것은 ‘한송’, ‘두송’; ‘시내’, ‘다시내’; ‘한쇠’, ‘두쇠’; ‘한바위’, ‘두바위’ 등인데 이들은 모두 형제이고, 생김새를 따른 것은 ‘동실’, ‘감실’, ‘고운’ 등인데 감실은 가무잡잡하다는 뜻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1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7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713
1764 불닭 바람의종 2009.07.13 6261
1763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304
1762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353
1761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902
1760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8997
1759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60
1758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629
1757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88
1756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521
1755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8019
1754 불호령 風磬 2006.12.23 8938
175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56
1752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1.07 16003
1751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9.06 17109
1750 붙이다와 부치다 바람의종 2010.03.05 11094
1749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33
1748 블루스 바람의종 2010.02.28 9032
1747 비갈망 바람의종 2008.01.29 8560
1746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56
1745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609
1744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60
1743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2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