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6 11:35

사람 이름 짓기

조회 수 1140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람 이름 짓기

1990년대에 남북한의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이름을 조사한 일이 있다. 남한 교과서에서는 남자 이름에 ‘영수’, 여자 이름에 ‘영주’가 빈도가 가장 높았고, 북한 교과서에서는 남자 이름에 ‘수원’이, 여자 이름에 ‘순희’가 제일 자주 등장하는 이름이었다.

요즈음 유행하는 고유어 이름에는 단어 형태로 된 것이 많아 필자가 아는 ‘예슬’이만 해도 8명 정도이고 지난 학기에는 두 ‘아름’이가 내 강의를 들었는데 이번 학기에는 두 ‘소라’가 내 강의를 듣고 있다. 이름이 단어 형태로 지어지는 것은 북한에서도 마찬가지인데 북한에서 고유어 이름이 지어지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름 짓는 실마리에서 보면 희망과 기대를 반영한 것에 ‘참’, ‘세찰’, ‘억세’, ‘빛남’, ‘슬기’, ‘힘’, ‘시내’, ‘노을’, ‘구슬’, ‘거울’ 등이 있고, 태어난 계절이나 시간을 반영한 것에 봄, 봄이, 여름, 보름, 아침 등이 있다. 또 태어난 고장 이름에서 ‘솔메’, ‘새길’이 있는데 ‘솔메’는 솔메 마을에서 태어난 아이이고, ‘새길’은 새길동에서 태어난 아이이다. 또 태어난 차례가 실마리가 된 것은 ‘한송’, ‘두송’; ‘시내’, ‘다시내’; ‘한쇠’, ‘두쇠’; ‘한바위’, ‘두바위’ 등인데 이들은 모두 형제이고, 생김새를 따른 것은 ‘동실’, ‘감실’, ‘고운’ 등인데 감실은 가무잡잡하다는 뜻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1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440
1764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40
1763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38
1762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67
1761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99
1760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1124
1759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42
1758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76
1757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403
1756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8
1755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44
1754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700
175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54
1752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309
1751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766
1750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800
1749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877
1748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73
1747 내쳐, 내친 걸음에, 내친 김에 바람의종 2009.07.22 11152
174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425
1745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40
1744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648
1743 당나귀 file 바람의종 2009.07.23 53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