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6 11:35

사람 이름 짓기

조회 수 1136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람 이름 짓기

1990년대에 남북한의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이름을 조사한 일이 있다. 남한 교과서에서는 남자 이름에 ‘영수’, 여자 이름에 ‘영주’가 빈도가 가장 높았고, 북한 교과서에서는 남자 이름에 ‘수원’이, 여자 이름에 ‘순희’가 제일 자주 등장하는 이름이었다.

요즈음 유행하는 고유어 이름에는 단어 형태로 된 것이 많아 필자가 아는 ‘예슬’이만 해도 8명 정도이고 지난 학기에는 두 ‘아름’이가 내 강의를 들었는데 이번 학기에는 두 ‘소라’가 내 강의를 듣고 있다. 이름이 단어 형태로 지어지는 것은 북한에서도 마찬가지인데 북한에서 고유어 이름이 지어지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름 짓는 실마리에서 보면 희망과 기대를 반영한 것에 ‘참’, ‘세찰’, ‘억세’, ‘빛남’, ‘슬기’, ‘힘’, ‘시내’, ‘노을’, ‘구슬’, ‘거울’ 등이 있고, 태어난 계절이나 시간을 반영한 것에 봄, 봄이, 여름, 보름, 아침 등이 있다. 또 태어난 고장 이름에서 ‘솔메’, ‘새길’이 있는데 ‘솔메’는 솔메 마을에서 태어난 아이이고, ‘새길’은 새길동에서 태어난 아이이다. 또 태어난 차례가 실마리가 된 것은 ‘한송’, ‘두송’; ‘시내’, ‘다시내’; ‘한쇠’, ‘두쇠’; ‘한바위’, ‘두바위’ 등인데 이들은 모두 형제이고, 생김새를 따른 것은 ‘동실’, ‘감실’, ‘고운’ 등인데 감실은 가무잡잡하다는 뜻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31
1764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33
1763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05
1762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21
176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02
1760 사리 바람의종 2010.08.26 10953
1759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33
1758 사리 風磬 2006.12.26 8566
1757 사리 바람의종 2009.08.05 6781
1756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21
1755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72
1754 사랑금이 file 바람의종 2009.07.14 5456
1753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204
» 사람 이름 짓기 바람의종 2010.01.26 11368
1751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773
1750 사람 file 바람의종 2009.12.21 10973
1749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風文 2020.07.19 2299
1748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93
1747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561
1746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388
1745 사또 風磬 2006.12.26 7095
1744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66
1743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