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6 11:33

신발 좀 간조롱이 놔!

조회 수 935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발 좀 간조롱이 놔!

‘간조롱이’는 표준어 ‘가지런히’와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경남과 전북, 충청 지역에서 쓰인다. ‘간조롱이’는 ‘가지런하다’의 고장말 ‘간조롱하다’의 ‘간조롱’과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말이다. “눈짜위로 미소를 머금꼬 한손으로는 으러진 경호의 앞머리를 간조롱이 씨다듬으며 약간 있는 사치(새치)를 뽑고 있었다.”(<고향> 이기영) ‘간조롱’과 ‘-히’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간조롱히’가 경남 지역에서 쓰이기도 한다. 또한 ‘간조롱이’의 ‘ㄴ’이 탈락한 형태인 ‘가조롱이’가 전북의 북부지역에서 쓰인다. “스미코는 남자가 벗은 것을 제 것처럼은 함부로 다루지 않고, 잘 가조롱이 걸어 두고 넣어 놓고 하느라 한참 수고를 한다.”(<냉동어> 채만식)

‘간주렁이’와 비슷한 형태의 고장말은 ‘간주러미~간지러미’인데 이는 경남뿐만 아니라 경북 지역에서도 쓰이는 고장말이다. “전 부친 거이 포개 놓지 말고 간주루미 나라(놓아라) 안 하나?” “두 땅이 간지러미 요래 있는데 우에 밭 임재는 배추씨를 흔쳐 가지고 배추를 심겄고(심었고)…”(<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가지런히’와 대응하는 또 다른 고장말은 ‘간초롬히’로 주로 충북 지역에서 쓰인다. ‘간조롱이’와 마찬가지로 ‘간초롬히’도 ‘가지런하다’의 고장말 ‘간초롬하다’의 ‘간초롬’과 토 ‘-히’가 결합된 것이다. “그는 제법 넥타이까지 매고 머리를 간소롬히 빗은 것이 어울리지 않았다.”(<인간제대> 추식)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1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7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580
2050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739
2049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63
2048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903
2047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4
2046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773
2045 ~에 있어서 바람의종 2009.02.10 6947
2044 장진, 장전 바람의종 2009.02.10 10918
2043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622
2042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73
2041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7
2040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35
2039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89
2038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66
2037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71
2036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231
2035 낱알, 낟알 / 옛, 예 바람의종 2009.02.14 8900
2034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25
2033 무더위 바람의종 2009.02.17 6609
2032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45
2031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24
2030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86
2029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7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