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2 11:55

아스팔트와 아부라

조회 수 990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스팔트와 아부라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지만 경제개발 시대에 흔히 쓰던 말 가운데 ‘신작로’(新作路)가 있었다. 글자 그대로 ‘새로 만들어진 길’인데, 그 시절에는 어른 주먹만한 돌멩이들이 깔려서 울퉁불퉁한 자갈길도 충분히 신작로 자격을 갖추었지만 지금은 아스팔트가 깔끔하게 깔리고 차선이 반듯하게 그려진 자동차 도로여야 아마 신작로라 불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아스팔트’(asphalt)는 영어로서 석유를 정제할 때 잔류물로 얻어지는 고체나 반고체의 검은색이나 흑갈색 탄화수소 화합물을 일컫는다. 영어 발음을 대상으로 외래어 표기법에 맞게 적으면 ‘애스폴트’ 또는 ‘애스팰트’가 되지만 일본말 ‘아스화루토’(アスファルト)의 영향을 받았거나 아니면 철자를 보고 라틴말 식으로 받아 적은 탓인지 ‘아스팔트’로 굳어졌다.

아스팔트 도로를 만들 때 그 찐득한 원료가 길옆에 조금 떨어지면 아이들이 나무막대로 찍어서 그것을 덩어리지게 하여 가지고 놀았었다. 그 원료를 ‘아부라’라고 불렀는데, 아부라가 동그랗게 굳으면 거무튀튀한 색깔과 몰캉몰캉한 겉면의 촉감이 특이해서 며칠 동안의 장난감으로 충분했었다.

‘아부라’는 굳기름이란 뜻의 일본말 ‘아부라’(あぶら, 脂·膏)로 보인다. 발음이 같으며 뜻도 유사한 다른 ‘아부라’(あぶら, 油)도 있으나, 이는 일반적인 기름을 가리키므로 우리 외래어 ‘아부라’의 어원이 아니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3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0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745
1302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83
1301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618
1300 아니오, 아니요 바람의종 2008.11.27 6229
1299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71
1298 아닌 밤중에 홍두깨 바람의종 2008.01.21 11764
1297 아다시피, 아시다시피, 알다시피 바람의종 2009.10.28 11482
1296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908
1295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598
1294 아르바이트 바람의종 2010.02.06 8055
1293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204
1292 아리아리 바람의종 2009.12.01 10918
1291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8209
1290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65
1289 아무, 누구 바람의종 2009.10.08 8990
1288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80
1287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39
1286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9
1285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503
1284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614
1283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89
»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904
1281 아슴찮아라, 참! file 바람의종 2010.05.09 85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