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37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암(수)캐’가 ‘암(수)개’로

우리의 어문 규범은 맞춤법 규정 제31항에서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도록 되어 있고, 표준어 규정 제7항 ‘다만’에서는 암수를 나타내는 단어 아홉개에 대하여 ‘ㅎ’을 첨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 예는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등이다.

이에 대하여 북한에서는 <조선말 띄여쓰기규범>(2000) ‘부록’에서 ‘표기를 바로잡은 단어’라 하여 스무개를 제시하고 ‘ㅎ’을 덧붙여 쓰지 않음을 밝혔다. 그 예는 강냉이, 강아지, 거미, 고양이, 곰, 기와, 개, 개미, 게, 꿩, 괭이(고양이의 준말), 닭, 돌쩌귀, 돼지, 밤나무, 밤송이, 벌, 범, 병아리, 비둘기 등이다. 이 가운데 특히 ‘괭이’는 바로잡기 전에는 ‘쾡이’가 아닌 ‘암(수)쾌이’였다.

북한은 1966년의 <조선말규범집>에서부터 사이시옷도 제거하였다. 그리하여 우리의 ‘냇가’는 북한에서는 ‘내가’로 표기되고 우리의 ‘등굣길’은 당연히 ‘등교길’로 표기된다. 북한에서 사이시옷의 폐기와 더불어 사이히읗의 제거는 파생어와 합성어 형성에서 변형되어 있던 원래의 명사 어근을 뚜렷이 드러나게 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0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84
2028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7974
2027 돌팔이 風磬 2006.11.16 7975
2026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76
2025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7981
2024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7983
2023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7987
2022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7996
2021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7996
2020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7998
2019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7999
2018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000
2017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8001
2016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001
2015 아르바이트 바람의종 2010.02.06 8007
2014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008
2013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12
2012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14
2011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16
2010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017
2009 무꾸리 風磬 2006.11.26 8018
2008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22
2007 날으는 비행기? 바람의종 2010.01.27 80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