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57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암(수)캐’가 ‘암(수)개’로

우리의 어문 규범은 맞춤법 규정 제31항에서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도록 되어 있고, 표준어 규정 제7항 ‘다만’에서는 암수를 나타내는 단어 아홉개에 대하여 ‘ㅎ’을 첨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 예는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등이다.

이에 대하여 북한에서는 <조선말 띄여쓰기규범>(2000) ‘부록’에서 ‘표기를 바로잡은 단어’라 하여 스무개를 제시하고 ‘ㅎ’을 덧붙여 쓰지 않음을 밝혔다. 그 예는 강냉이, 강아지, 거미, 고양이, 곰, 기와, 개, 개미, 게, 꿩, 괭이(고양이의 준말), 닭, 돌쩌귀, 돼지, 밤나무, 밤송이, 벌, 범, 병아리, 비둘기 등이다. 이 가운데 특히 ‘괭이’는 바로잡기 전에는 ‘쾡이’가 아닌 ‘암(수)쾌이’였다.

북한은 1966년의 <조선말규범집>에서부터 사이시옷도 제거하였다. 그리하여 우리의 ‘냇가’는 북한에서는 ‘내가’로 표기되고 우리의 ‘등굣길’은 당연히 ‘등교길’로 표기된다. 북한에서 사이시옷의 폐기와 더불어 사이히읗의 제거는 파생어와 합성어 형성에서 변형되어 있던 원래의 명사 어근을 뚜렷이 드러나게 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78
2028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523
2027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520
2026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516
2025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515
2024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512
2023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510
2022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509
2021 칠거지선(七去之善) 바람의종 2010.03.05 9506
2020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98
2019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96
2018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492
2017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491
2016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490
2015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90
2014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89
2013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86
2012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85
2011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84
2010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81
2009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9.06.01 9477
2008 복허리에 복달임 바람의종 2010.06.19 9472
2007 거꾸로 가는 지자체 바람의종 2011.12.28 94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