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0 05:46

제우 요것뿐이오!

조회 수 1196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우 요것뿐이오!

‘제우’는 표준어 ‘겨우’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경기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쓰인다. ‘제우’가 두 지역에서 쓰이지 않는 까닭은 ‘길>질, 기름>지름’과 같은 소리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이 지역에서는 ‘겨우>져우>졔우>제우’와 같은 소리의 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우’가 고장말로 쓰일 수 없는 것이다. “어무이가 인자 제우 잠이 들었는데 깨발라고 그카나?”(<불의 제전> 김원일) “술판 한번 오붓허다 싶어 고시례 헐 게라두 있나 보러 왔더니 제우 농사짓구 있네그려.”(<우리 동네 김씨> 이문구)

‘제우’의 또다른 형태로는 ‘저우, 제오’, ‘제구, 제고’ 등을 들 수 있는데, ‘저우’나 ‘제오’는 ‘겨우’의 옛말 ‘계오’가 ‘계오>계요>계유>겨유>겨우>져우>저우~졔우>제우’, ‘계오>겨오>져오>졔오>제오’와 같은 변화를 경험한 것들이다. “빌어먹는 밭은 제오 서너 마지기나밖에 안 되고…”(<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제구’나 ‘제고’는 주로 경상도에서 쓰이는 고장말로, 이는 ‘계오’보다 더 이전 형태로 추정되는 ‘계고’가 ‘계고>제고>제구’와 같은 변화를 겪어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그저 제고 주는 거 한 술 얻어먹고 자꾸 어디론지 가.”(위 책 경북편) “식구는 제구 서이 남가놓고 그만 살림도 없어졌삐?”(위 책 경남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93
2028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4
2027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89
2026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10
2025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67
2024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124
2023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84
2022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04
2021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77
202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59
2019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72
2018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9005
201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325
2016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840
201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856
2014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822
2013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66
2012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35
201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36
2010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412
2009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697
200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58
2007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60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