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0 05:46

제우 요것뿐이오!

조회 수 1193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우 요것뿐이오!

‘제우’는 표준어 ‘겨우’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경기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쓰인다. ‘제우’가 두 지역에서 쓰이지 않는 까닭은 ‘길>질, 기름>지름’과 같은 소리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이 지역에서는 ‘겨우>져우>졔우>제우’와 같은 소리의 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우’가 고장말로 쓰일 수 없는 것이다. “어무이가 인자 제우 잠이 들었는데 깨발라고 그카나?”(<불의 제전> 김원일) “술판 한번 오붓허다 싶어 고시례 헐 게라두 있나 보러 왔더니 제우 농사짓구 있네그려.”(<우리 동네 김씨> 이문구)

‘제우’의 또다른 형태로는 ‘저우, 제오’, ‘제구, 제고’ 등을 들 수 있는데, ‘저우’나 ‘제오’는 ‘겨우’의 옛말 ‘계오’가 ‘계오>계요>계유>겨유>겨우>져우>저우~졔우>제우’, ‘계오>겨오>져오>졔오>제오’와 같은 변화를 경험한 것들이다. “빌어먹는 밭은 제오 서너 마지기나밖에 안 되고…”(<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제구’나 ‘제고’는 주로 경상도에서 쓰이는 고장말로, 이는 ‘계오’보다 더 이전 형태로 추정되는 ‘계고’가 ‘계고>제고>제구’와 같은 변화를 겪어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그저 제고 주는 거 한 술 얻어먹고 자꾸 어디론지 가.”(위 책 경북편) “식구는 제구 서이 남가놓고 그만 살림도 없어졌삐?”(위 책 경남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33
2886 운영과 운용 바람의종 2010.03.04 12093
2885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080
2884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069
2883 여위다, 여의다 바람의종 2010.05.17 12063
2882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055
2881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048
2880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048
2879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43
2878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10.11.03 12038
2877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37
2876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12
2875 빼다 박다, 빼쏘다, 빼박다 바람의종 2010.03.06 12010
2874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1999
2873 표식/표지, 성력/생력 바람의종 2010.09.03 11998
2872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1998
2871 바람피다 걸리면? 바람의종 2011.12.30 11995
2870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1991
2869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1991
2868 애먼 바람의종 2010.11.21 11989
2867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1976
2866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1966
2865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