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1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북한의 이른바 나라꽃은 진달래꽃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그들에 따르면 조선의 국화는 목란꽃이다. 북한의 <조선말대사전>(2007)에는 ‘목란꽃’은 “목란의 꽃. 향기롭고 아름다운 흰 꽃으로서 조선의 국화이다. …”로 되어 있고, 또 “목란꽃! 그것은 수령님께서 몸소 지어 주신 꽃 이름이다”라고도 나와 있다. 자료를 보면 1964년 5월 김일성 주석이 황해북도의 어느 휴양소에 들렀을 때 이 나무의 이름을 ‘목란’(나무에 피는 난)으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그러니까 결국 북한의 나라꽃은 목란꽃인데 흰 목련을 말하며 이름은 김일성 주석에게서 유래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런데 남한의 <국어대사전>(금성출판사, 1992)에는 ‘목란’에 대하여 “=목련”이라고 풀이하고 있어 김일성 주석 이전에 이미 남한에도 목란이라는 말이 있어 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김 주석의 작명설은 근거가 희박하다.

그 뒤 필자는 우리의 흰 목련과 북한의 목란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오래도록 고심한 일이 있다. 그리고 강원도 강릉 출신의 국어학자와의 우연한 대화를 통하여 강릉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하얀 산목련을 목란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이 목란꽃을 공식적으로 국화로 지정한 것은 1991년 4월10일의 일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01
2028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4
2027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91
2026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12
2025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67
2024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126
2023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89
2022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04
2021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78
202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59
2019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72
2018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9005
201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325
2016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843
201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856
2014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822
2013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74
2012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35
201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36
2010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412
2009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705
200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58
2007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60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