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2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북한의 이른바 나라꽃은 진달래꽃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그들에 따르면 조선의 국화는 목란꽃이다. 북한의 <조선말대사전>(2007)에는 ‘목란꽃’은 “목란의 꽃. 향기롭고 아름다운 흰 꽃으로서 조선의 국화이다. …”로 되어 있고, 또 “목란꽃! 그것은 수령님께서 몸소 지어 주신 꽃 이름이다”라고도 나와 있다. 자료를 보면 1964년 5월 김일성 주석이 황해북도의 어느 휴양소에 들렀을 때 이 나무의 이름을 ‘목란’(나무에 피는 난)으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그러니까 결국 북한의 나라꽃은 목란꽃인데 흰 목련을 말하며 이름은 김일성 주석에게서 유래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런데 남한의 <국어대사전>(금성출판사, 1992)에는 ‘목란’에 대하여 “=목련”이라고 풀이하고 있어 김일성 주석 이전에 이미 남한에도 목란이라는 말이 있어 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김 주석의 작명설은 근거가 희박하다.

그 뒤 필자는 우리의 흰 목련과 북한의 목란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오래도록 고심한 일이 있다. 그리고 강원도 강릉 출신의 국어학자와의 우연한 대화를 통하여 강릉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하얀 산목련을 목란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이 목란꽃을 공식적으로 국화로 지정한 것은 1991년 4월10일의 일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65
2028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96
2027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451
2026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90
2025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297
2024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58
2023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87
2022 니자테 너인테 바람의종 2009.02.20 6430
2021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517
2020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714
2019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40
2018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62
2017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22
2016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93
2015 대미관, 대북관 바람의종 2009.02.21 6695
2014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17
2013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750
2012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085
2011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210
2010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683
2009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80
2008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94
2007 덧글, 답글, 댓글 1 바람의종 2009.03.01 74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