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05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북한의 이른바 나라꽃은 진달래꽃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그들에 따르면 조선의 국화는 목란꽃이다. 북한의 <조선말대사전>(2007)에는 ‘목란꽃’은 “목란의 꽃. 향기롭고 아름다운 흰 꽃으로서 조선의 국화이다. …”로 되어 있고, 또 “목란꽃! 그것은 수령님께서 몸소 지어 주신 꽃 이름이다”라고도 나와 있다. 자료를 보면 1964년 5월 김일성 주석이 황해북도의 어느 휴양소에 들렀을 때 이 나무의 이름을 ‘목란’(나무에 피는 난)으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그러니까 결국 북한의 나라꽃은 목란꽃인데 흰 목련을 말하며 이름은 김일성 주석에게서 유래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런데 남한의 <국어대사전>(금성출판사, 1992)에는 ‘목란’에 대하여 “=목련”이라고 풀이하고 있어 김일성 주석 이전에 이미 남한에도 목란이라는 말이 있어 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김 주석의 작명설은 근거가 희박하다.

그 뒤 필자는 우리의 흰 목련과 북한의 목란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오래도록 고심한 일이 있다. 그리고 강원도 강릉 출신의 국어학자와의 우연한 대화를 통하여 강릉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하얀 산목련을 목란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이 목란꽃을 공식적으로 국화로 지정한 것은 1991년 4월10일의 일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36
2028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7978
2027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7979
2026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7981
2025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7982
2024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7987
2023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7990
2022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7996
2021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7998
2020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02
2019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04
2018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005
2017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8006
2016 아르바이트 바람의종 2010.02.06 8010
2015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12
2014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015
2013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16
2012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18
2011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020
2010 무꾸리 風磬 2006.11.26 8022
2009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023
2008 날으는 비행기? 바람의종 2010.01.27 8024
2007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0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