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41

딤섬

조회 수 859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딤섬

만두(饅頭)는 약 3000년 전 중국 광둥 지방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 탄생 배경을 담은 이야기가 있으니, 제갈공명이 남만(南蠻)을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만난 풍랑을 재우기 위해 사람의 머리 대신 만두를 빚어 고사를 지냈다는 것이다.

만두가 중국을 벗어나서 널리 퍼진 이제 그 원형을 원래의 표현인 ‘饅頭’로 가리키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만터우’라고 이르는데 소가 없는 찐 떡을 뜻하고, 일본에서는 아주 달리 ‘교자’(餃子, ギョ─ザ)라고 일컫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소가 있는 만두는 ‘자오쯔’(餃子)라 하며, 그 발음이 ‘交子’(‘자식을 내려주다’는 뜻)와 같아 예부터 길한 음식으로 친다고 한다. 요즘 유행하는 ‘딤섬’도 만두의 일종이다.

중국의 딤섬은 ‘차와 함께 즐기는 만두 형식의 간단한 음식’을 뜻하며 한입 크기로 만들고, 점심 식사로 2~3가지 딤섬을 먹거나 오후 간식으로 등장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딤섬이 찐만두 형태로만 통하는 면이 있는데, 중국에서는 찐 것을 비롯하여 튀긴 것과 구운 것도 있어 수천 가지나 되며, 우리나라에서도 전문점에 가면 종류가 꽤 많음을 알 수 있다.

‘딤섬’이란 말이 중국의 표준어는 아니며, 딤섬이 발달한 광저우 지방의 사투리 발음에서 유래하였고, 표준어로는 ‘뎬신’(點心)이 된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7
1742 닥달하다, 원활 바람의종 2009.04.30 8657
1741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59
1740 재미 바람의종 2010.05.30 8661
1739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63
1738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71
1737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79
1736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680
1735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1
1734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81
1733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681
1732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683
1731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85
1730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688
1729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1
1728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693
1727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694
1726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697
1725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698
1724 무데뽀 바람의종 2008.02.12 8709
1723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2
1722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714
1721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