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41

딤섬

조회 수 861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딤섬

만두(饅頭)는 약 3000년 전 중국 광둥 지방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 탄생 배경을 담은 이야기가 있으니, 제갈공명이 남만(南蠻)을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만난 풍랑을 재우기 위해 사람의 머리 대신 만두를 빚어 고사를 지냈다는 것이다.

만두가 중국을 벗어나서 널리 퍼진 이제 그 원형을 원래의 표현인 ‘饅頭’로 가리키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만터우’라고 이르는데 소가 없는 찐 떡을 뜻하고, 일본에서는 아주 달리 ‘교자’(餃子, ギョ─ザ)라고 일컫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소가 있는 만두는 ‘자오쯔’(餃子)라 하며, 그 발음이 ‘交子’(‘자식을 내려주다’는 뜻)와 같아 예부터 길한 음식으로 친다고 한다. 요즘 유행하는 ‘딤섬’도 만두의 일종이다.

중국의 딤섬은 ‘차와 함께 즐기는 만두 형식의 간단한 음식’을 뜻하며 한입 크기로 만들고, 점심 식사로 2~3가지 딤섬을 먹거나 오후 간식으로 등장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딤섬이 찐만두 형태로만 통하는 면이 있는데, 중국에서는 찐 것을 비롯하여 튀긴 것과 구운 것도 있어 수천 가지나 되며, 우리나라에서도 전문점에 가면 종류가 꽤 많음을 알 수 있다.

‘딤섬’이란 말이 중국의 표준어는 아니며, 딤섬이 발달한 광저우 지방의 사투리 발음에서 유래하였고, 표준어로는 ‘뎬신’(點心)이 된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93
2006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3
2005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81
2004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285
2003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314
2002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96
2001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59
2000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216
1999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274
1998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642
1997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30
1996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827
1995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10054
1994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35
199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53
1992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594
1991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49
1990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809
1989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75
1988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86
1987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9022
1986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697
1985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