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41

딤섬

조회 수 859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딤섬

만두(饅頭)는 약 3000년 전 중국 광둥 지방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 탄생 배경을 담은 이야기가 있으니, 제갈공명이 남만(南蠻)을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만난 풍랑을 재우기 위해 사람의 머리 대신 만두를 빚어 고사를 지냈다는 것이다.

만두가 중국을 벗어나서 널리 퍼진 이제 그 원형을 원래의 표현인 ‘饅頭’로 가리키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만터우’라고 이르는데 소가 없는 찐 떡을 뜻하고, 일본에서는 아주 달리 ‘교자’(餃子, ギョ─ザ)라고 일컫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소가 있는 만두는 ‘자오쯔’(餃子)라 하며, 그 발음이 ‘交子’(‘자식을 내려주다’는 뜻)와 같아 예부터 길한 음식으로 친다고 한다. 요즘 유행하는 ‘딤섬’도 만두의 일종이다.

중국의 딤섬은 ‘차와 함께 즐기는 만두 형식의 간단한 음식’을 뜻하며 한입 크기로 만들고, 점심 식사로 2~3가지 딤섬을 먹거나 오후 간식으로 등장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딤섬이 찐만두 형태로만 통하는 면이 있는데, 중국에서는 찐 것을 비롯하여 튀긴 것과 구운 것도 있어 수천 가지나 되며, 우리나라에서도 전문점에 가면 종류가 꽤 많음을 알 수 있다.

‘딤섬’이란 말이 중국의 표준어는 아니며, 딤섬이 발달한 광저우 지방의 사투리 발음에서 유래하였고, 표준어로는 ‘뎬신’(點心)이 된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67
840 ‘-빼기’가 붙는 말 바람의종 2010.01.18 8513
839 외래어에서 무성 파열음 표기 바람의종 2010.01.18 10845
838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110
837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53
836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32
835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216
834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73
»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599
832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23
831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515
830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96
829 기록은 ‘경신’,계약은 ‘갱신’ 바람의종 2010.01.14 11053
828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81
827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43
826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902
825 트랜스 바람의종 2010.01.11 11155
824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4
823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83
822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24
821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824
820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67
819 ‘-데’와 ‘-대’의 구별 바람의종 2010.01.10 103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