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37

발음상의 특징

조회 수 813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음상의 특징

탈북하여 새 삶을 꾸리고 있는 이른바 새터민을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사선을 넘어 어렵게 자유를 찾은 사람들이므로 그들이 남한 사회에 빨리 적응하도록 우리가 도와주어야 한다. 탈북 새터민들의 언어에서 우리는 아래와 같은 발음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첫째, ‘ㅓ’가 ‘ㅗ’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걱정〔→ 곡종〕, 건설〔→ 곤솔〕, 떠나지〔→ 또나지〕, 선생님〔→ 손생님〕, 어떻게〔→ 오또케〕, 어머니〔→ 오모니〕, 정신〔→ 종신〕.

둘째, ‘ㅡ’ 또는 ‘ㅗ’가 ‘ㅜ’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그게〔→ 구게〕, 그러니〔→ 구러니〕, 으로〔→ 으루〕, 은혜〔→ 운혜〕, 음식〔→ 움식〕, 크면〔→ 쿠면〕.

셋째, 발음이 약화되는 현상이 있다. 가공하고〔→ 가공아고〕, 갔어요〔→ 가서요〕, 개척할〔→ 개처갈〕, 돌아왔을〔→ 돌아와슬〕, 됐어〔→ 돼서〕, 모질지〔→ 모지지〕, 있어서〔→ 이서서〕.

넷째, ‘ㄴ’ 첨가 현상이 있다. 강요〔→ 강뇨〕, 경영〔→ 경녕〕, 모양〔→ 모냥〕, 운영〔→ 운녕〕, 중요한〔→ 중뇨한〕.

“선생님한테 어떻게 말해야 할지 어머니의 걱정이 떠나지 않았습니다”는 〔손생님한테 오또케 말해야 할지 오모니의 곡종이 또나지 않았습네다〕가 될 것이고, “일이 그렇게 됐어. 자식으로서 부모의 은혜를 망각하고 말았어”는 〔일이 구러케 돼서. 자식으루서 부모의 운혜를 망각하고 말아서〕가 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17
1456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832
1455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37
1454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403
1453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4
1452 트랜스 바람의종 2010.01.11 11268
1451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66
1450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927
1449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80
1448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95
1447 기록은 ‘경신’,계약은 ‘갱신’ 바람의종 2010.01.14 11065
1446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945
1445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539
1444 응큼, 엉큼, 앙큼 바람의종 2010.01.14 14053
»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39
1442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616
1441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97
1440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323
1439 냄비, 남비 바람의종 2010.01.15 13476
1438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25
1437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60
1436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79
1435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1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