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37

발음상의 특징

조회 수 813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음상의 특징

탈북하여 새 삶을 꾸리고 있는 이른바 새터민을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사선을 넘어 어렵게 자유를 찾은 사람들이므로 그들이 남한 사회에 빨리 적응하도록 우리가 도와주어야 한다. 탈북 새터민들의 언어에서 우리는 아래와 같은 발음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첫째, ‘ㅓ’가 ‘ㅗ’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걱정〔→ 곡종〕, 건설〔→ 곤솔〕, 떠나지〔→ 또나지〕, 선생님〔→ 손생님〕, 어떻게〔→ 오또케〕, 어머니〔→ 오모니〕, 정신〔→ 종신〕.

둘째, ‘ㅡ’ 또는 ‘ㅗ’가 ‘ㅜ’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그게〔→ 구게〕, 그러니〔→ 구러니〕, 으로〔→ 으루〕, 은혜〔→ 운혜〕, 음식〔→ 움식〕, 크면〔→ 쿠면〕.

셋째, 발음이 약화되는 현상이 있다. 가공하고〔→ 가공아고〕, 갔어요〔→ 가서요〕, 개척할〔→ 개처갈〕, 돌아왔을〔→ 돌아와슬〕, 됐어〔→ 돼서〕, 모질지〔→ 모지지〕, 있어서〔→ 이서서〕.

넷째, ‘ㄴ’ 첨가 현상이 있다. 강요〔→ 강뇨〕, 경영〔→ 경녕〕, 모양〔→ 모냥〕, 운영〔→ 운녕〕, 중요한〔→ 중뇨한〕.

“선생님한테 어떻게 말해야 할지 어머니의 걱정이 떠나지 않았습니다”는 〔손생님한테 오또케 말해야 할지 오모니의 곡종이 또나지 않았습네다〕가 될 것이고, “일이 그렇게 됐어. 자식으로서 부모의 은혜를 망각하고 말았어”는 〔일이 구러케 돼서. 자식으루서 부모의 운혜를 망각하고 말아서〕가 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54
2006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9
2005 굿 바람의종 2008.02.17 8131
2004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35
2003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8138
»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38
2001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9
2000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39
1999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8140
1998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40
1997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8141
1996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41
1995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41
1994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147
1993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149
1992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49
1991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49
1990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50
1989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51
1988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53
1987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56
1986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156
1985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