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37

발음상의 특징

조회 수 811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음상의 특징

탈북하여 새 삶을 꾸리고 있는 이른바 새터민을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사선을 넘어 어렵게 자유를 찾은 사람들이므로 그들이 남한 사회에 빨리 적응하도록 우리가 도와주어야 한다. 탈북 새터민들의 언어에서 우리는 아래와 같은 발음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첫째, ‘ㅓ’가 ‘ㅗ’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걱정〔→ 곡종〕, 건설〔→ 곤솔〕, 떠나지〔→ 또나지〕, 선생님〔→ 손생님〕, 어떻게〔→ 오또케〕, 어머니〔→ 오모니〕, 정신〔→ 종신〕.

둘째, ‘ㅡ’ 또는 ‘ㅗ’가 ‘ㅜ’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그게〔→ 구게〕, 그러니〔→ 구러니〕, 으로〔→ 으루〕, 은혜〔→ 운혜〕, 음식〔→ 움식〕, 크면〔→ 쿠면〕.

셋째, 발음이 약화되는 현상이 있다. 가공하고〔→ 가공아고〕, 갔어요〔→ 가서요〕, 개척할〔→ 개처갈〕, 돌아왔을〔→ 돌아와슬〕, 됐어〔→ 돼서〕, 모질지〔→ 모지지〕, 있어서〔→ 이서서〕.

넷째, ‘ㄴ’ 첨가 현상이 있다. 강요〔→ 강뇨〕, 경영〔→ 경녕〕, 모양〔→ 모냥〕, 운영〔→ 운녕〕, 중요한〔→ 중뇨한〕.

“선생님한테 어떻게 말해야 할지 어머니의 걱정이 떠나지 않았습니다”는 〔손생님한테 오또케 말해야 할지 오모니의 곡종이 또나지 않았습네다〕가 될 것이고, “일이 그렇게 됐어. 자식으로서 부모의 은혜를 망각하고 말았어”는 〔일이 구러케 돼서. 자식으루서 부모의 운혜를 망각하고 말아서〕가 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61
2622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17
2621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789
2620 너랑 나랑 바람의종 2008.11.15 7672
2619 너머/넘어 바람의종 2008.06.15 6474
2618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0
2617 너무 바람의종 2008.07.16 7496
2616 너무 風文 2023.04.24 1500
2615 너비, 넓이 바람의종 2009.10.07 10796
2614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894
2613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80
2612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560
2611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202
2610 넋두리 風磬 2006.10.30 8519
2609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141
2608 넌지시, 넌즈시 바람의종 2009.03.25 10922
2607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088
2606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7994
2605 널브러지다, 널부러지다, 너부러지다 바람의종 2010.06.16 19250
2604 널빤지, 널판지, 골판지 바람의종 2009.09.23 14464
2603 넓이뛰기 風磬 2006.10.30 10452
2602 넘어는 동작, 너머는 공간 바람의종 2009.11.23 6741
2601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