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37

발음상의 특징

조회 수 812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음상의 특징

탈북하여 새 삶을 꾸리고 있는 이른바 새터민을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사선을 넘어 어렵게 자유를 찾은 사람들이므로 그들이 남한 사회에 빨리 적응하도록 우리가 도와주어야 한다. 탈북 새터민들의 언어에서 우리는 아래와 같은 발음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첫째, ‘ㅓ’가 ‘ㅗ’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걱정〔→ 곡종〕, 건설〔→ 곤솔〕, 떠나지〔→ 또나지〕, 선생님〔→ 손생님〕, 어떻게〔→ 오또케〕, 어머니〔→ 오모니〕, 정신〔→ 종신〕.

둘째, ‘ㅡ’ 또는 ‘ㅗ’가 ‘ㅜ’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그게〔→ 구게〕, 그러니〔→ 구러니〕, 으로〔→ 으루〕, 은혜〔→ 운혜〕, 음식〔→ 움식〕, 크면〔→ 쿠면〕.

셋째, 발음이 약화되는 현상이 있다. 가공하고〔→ 가공아고〕, 갔어요〔→ 가서요〕, 개척할〔→ 개처갈〕, 돌아왔을〔→ 돌아와슬〕, 됐어〔→ 돼서〕, 모질지〔→ 모지지〕, 있어서〔→ 이서서〕.

넷째, ‘ㄴ’ 첨가 현상이 있다. 강요〔→ 강뇨〕, 경영〔→ 경녕〕, 모양〔→ 모냥〕, 운영〔→ 운녕〕, 중요한〔→ 중뇨한〕.

“선생님한테 어떻게 말해야 할지 어머니의 걱정이 떠나지 않았습니다”는 〔손생님한테 오또케 말해야 할지 오모니의 곡종이 또나지 않았습네다〕가 될 것이고, “일이 그렇게 됐어. 자식으로서 부모의 은혜를 망각하고 말았어”는 〔일이 구러케 돼서. 자식으루서 부모의 운혜를 망각하고 말아서〕가 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786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453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9371
    read more
  4. 바통

    Date2009.10.02 By바람의종 Views8949
    Read More
  5. 바투

    Date2010.11.10 By바람의종 Views14165
    Read More
  6. 박물관은 살아있다

    Date2012.11.30 By바람의종 Views18561
    Read More
  7. 박물관은 살아있다 2

    Date2012.12.10 By바람의종 Views23901
    Read More
  8. 박빙, 살얼음

    Date2010.01.11 By바람의종 Views10952
    Read More
  9. 박사

    Date2007.07.07 By바람의종 Views7925
    Read More
  10. 박살내다

    Date2007.05.09 By바람의종 Views10290
    Read More
  11. 박스오피스

    Date2010.02.08 By바람의종 Views8581
    Read More
  12. 박쥐

    Date2009.10.28 By바람의종 Views9797
    Read More
  13. 박차를 가하다

    Date2008.01.10 By바람의종 Views13028
    Read More
  14. 반동과 리액션

    Date2023.11.25 By風文 Views1444
    Read More
  15. 반딧불이

    Date2008.09.07 By바람의종 Views5701
    Read More
  16. 반어법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9046
    Read More
  17. 반죽이 좋다

    Date2010.11.03 By바람의종 Views12073
    Read More
  18. 반죽이 좋다

    Date2008.01.10 By바람의종 Views9265
    Read More
  19. 반증, 방증

    Date2008.09.30 By바람의종 Views10025
    Read More
  20. 반지락, 아나고

    Date2008.09.04 By바람의종 Views8216
    Read More
  21. 반풍수 집안 망친다

    Date2008.01.11 By바람의종 Views11123
    Read More
  22. 받아쓰기 없기

    Date2022.02.10 By風文 Views2460
    Read More
  23. 받치다, 받히다

    Date2011.12.28 By바람의종 Views10343
    Read More
  24.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Date2012.07.04 By바람의종 Views16870
    Read More
  25. 발강이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771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