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37

발음상의 특징

조회 수 810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음상의 특징

탈북하여 새 삶을 꾸리고 있는 이른바 새터민을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사선을 넘어 어렵게 자유를 찾은 사람들이므로 그들이 남한 사회에 빨리 적응하도록 우리가 도와주어야 한다. 탈북 새터민들의 언어에서 우리는 아래와 같은 발음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첫째, ‘ㅓ’가 ‘ㅗ’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걱정〔→ 곡종〕, 건설〔→ 곤솔〕, 떠나지〔→ 또나지〕, 선생님〔→ 손생님〕, 어떻게〔→ 오또케〕, 어머니〔→ 오모니〕, 정신〔→ 종신〕.

둘째, ‘ㅡ’ 또는 ‘ㅗ’가 ‘ㅜ’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그게〔→ 구게〕, 그러니〔→ 구러니〕, 으로〔→ 으루〕, 은혜〔→ 운혜〕, 음식〔→ 움식〕, 크면〔→ 쿠면〕.

셋째, 발음이 약화되는 현상이 있다. 가공하고〔→ 가공아고〕, 갔어요〔→ 가서요〕, 개척할〔→ 개처갈〕, 돌아왔을〔→ 돌아와슬〕, 됐어〔→ 돼서〕, 모질지〔→ 모지지〕, 있어서〔→ 이서서〕.

넷째, ‘ㄴ’ 첨가 현상이 있다. 강요〔→ 강뇨〕, 경영〔→ 경녕〕, 모양〔→ 모냥〕, 운영〔→ 운녕〕, 중요한〔→ 중뇨한〕.

“선생님한테 어떻게 말해야 할지 어머니의 걱정이 떠나지 않았습니다”는 〔손생님한테 오또케 말해야 할지 오모니의 곡종이 또나지 않았습네다〕가 될 것이고, “일이 그렇게 됐어. 자식으로서 부모의 은혜를 망각하고 말았어”는 〔일이 구러케 돼서. 자식으루서 부모의 운혜를 망각하고 말아서〕가 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38
1962 초죽음 바람의종 2010.01.06 10818
1961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407
1960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22
1959 덕아웃이 아니고 왜 더그아웃? 바람의종 2010.01.06 9570
1958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36
1957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78
1956 보도시 한 절(술) 뜨고 file 바람의종 2010.01.06 5463
195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398
1954 눈꼬리 바람의종 2009.12.23 12937
1953 총뿌리, 돌뿌리 바람의종 2009.12.23 11273
1952 사람 file 바람의종 2009.12.21 10957
1951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56
1950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47
1949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54
1948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22
1947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590
1946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45
1945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80
1944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70
1943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20
1942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460
1941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