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4 02:54

대체나 그렇네 잉!

조회 수 798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체나 그렇네 잉!

‘대체나, 대처나’는 ‘대체’ 또는 ‘대처’와 ‘-나’가 결합된 전라도 고장말이다. ‘대체나/대처나’는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도대체가’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나(아닌 밤중에 홍두깨도 유분수지, 대처나 이게 뭔 야단이여?(<완장> 윤흥길)), 상대방의 말에 맞장구치면서 예상했던 대로임을 나타내거나, 마음속으로 동의할 때 쓰기도 한다. 굳이 표준어로 바꾸면 ‘과연’과 가장 가깝다. 또 ‘대관절’과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음식이랑 머이랑 이고 진 하님(하인)들이 줄줄이 따러가는 행렬이 어찌 그리 설웁고 처량튼지. 참 요상허제. 그렇게 행렬이 지일고(길고) 호사시러웅 거이 외나 더 설워 뵈드랑게.” “대체나 그랬겄소잉.”(<혼불> 최명희) “… 밤중에 두런두런 얘깃소리가 들리걸래 대처나 무슨 일인가 싶어서 찌꼼 구다본 것뿐이다.”(<장마> 윤흥길)

‘대체나/대처나’의 또다른 형태는 ‘대크나, 대키나, 대치나’이다. ‘대치나/대키나’는 ‘대체나>대치나’, ‘대크나’는 ‘대처나>대츠나>대크나’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그서 거그를 찾어갔어. 찾아가서 대문갓이서 보고 있응게 대크나 의원들이 막 들락날락허거든.”(<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대키나 아침이 선배(선비)가 오는디 굽남궤(굽이 있는 나막신) 신고 떨걱떨걱 와.”(위 책) “즈그 매씨(매형) 말대로 대치나 찾아 들어간 것이 큰애기 집이여.”(위 책 전남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03
1456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153
1455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153
1454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53
1453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51
1452 무꾸리 風磬 2006.11.26 8150
1451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49
1450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148
1449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48
1448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47
14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144
1446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42
1445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41
1444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40
1443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9
1442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39
1441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35
1440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8133
1439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33
1438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33
1437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131
1436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129
1435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