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4 02:54

대체나 그렇네 잉!

조회 수 799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체나 그렇네 잉!

‘대체나, 대처나’는 ‘대체’ 또는 ‘대처’와 ‘-나’가 결합된 전라도 고장말이다. ‘대체나/대처나’는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도대체가’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나(아닌 밤중에 홍두깨도 유분수지, 대처나 이게 뭔 야단이여?(<완장> 윤흥길)), 상대방의 말에 맞장구치면서 예상했던 대로임을 나타내거나, 마음속으로 동의할 때 쓰기도 한다. 굳이 표준어로 바꾸면 ‘과연’과 가장 가깝다. 또 ‘대관절’과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음식이랑 머이랑 이고 진 하님(하인)들이 줄줄이 따러가는 행렬이 어찌 그리 설웁고 처량튼지. 참 요상허제. 그렇게 행렬이 지일고(길고) 호사시러웅 거이 외나 더 설워 뵈드랑게.” “대체나 그랬겄소잉.”(<혼불> 최명희) “… 밤중에 두런두런 얘깃소리가 들리걸래 대처나 무슨 일인가 싶어서 찌꼼 구다본 것뿐이다.”(<장마> 윤흥길)

‘대체나/대처나’의 또다른 형태는 ‘대크나, 대키나, 대치나’이다. ‘대치나/대키나’는 ‘대체나>대치나’, ‘대크나’는 ‘대처나>대츠나>대크나’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그서 거그를 찾어갔어. 찾아가서 대문갓이서 보고 있응게 대크나 의원들이 막 들락날락허거든.”(<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대키나 아침이 선배(선비)가 오는디 굽남궤(굽이 있는 나막신) 신고 떨걱떨걱 와.”(위 책) “즈그 매씨(매형) 말대로 대치나 찾아 들어간 것이 큰애기 집이여.”(위 책 전남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881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028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10/01/19 by 바람의종
    Views 8421 

    커브길

  5.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10/01/18 by 바람의종
    Views 6850 

    사잇길

  6.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10/01/18 by 바람의종
    Views 8530 

    ‘-빼기’가 붙는 말

  7.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10/01/18 by 바람의종
    Views 10845 

    외래어에서 무성 파열음 표기

  8.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10/01/18 by 바람의종
    Views 14121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9. 거진 다 왔소!

  10.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10/01/18 by 바람의종
    Views 9732 

    말 비틀기(1)

  11.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10/01/15 by 바람의종
    Views 7915 

    그저, 거저

  12.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10/01/15 by 바람의종
    Views 13454 

    냄비, 남비

  13.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10/01/15 by 바람의종
    Views 10247 

    파열음

  14.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10/01/15 by 바람의종
    Views 8287 

    개밥바라기

  15.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10/01/15 by 바람의종
    Views 8606 

    딤섬

  16.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10/01/15 by 바람의종
    Views 8133 

    발음상의 특징

  17.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10/01/14 by 바람의종
    Views 14030 

    응큼, 엉큼, 앙큼

  18.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10/01/14 by 바람의종
    Views 17517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19.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10/01/14 by 바람의종
    Views 11912 

    ‘붇다’와 ‘붓다’의 활용

  20.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10/01/14 by 바람의종
    Views 11053 

    기록은 ‘경신’,계약은 ‘갱신’

  21.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10/01/14 by 바람의종
    Views 7990 

    대체나 그렇네 잉!

  22.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10/01/14 by 바람의종
    Views 7560 

    안 본 지

  23.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10/01/14 by 바람의종
    Views 7910 

    몸알리

  24. No Image 11Jan
    by 바람의종
    2010/01/11 by 바람의종
    Views 10955 

    박빙, 살얼음

  25. No Image 11Jan
    by 바람의종
    2010/01/11 by 바람의종
    Views 11167 

    트랜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