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4 02:53

안 본 지

조회 수 755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 본 지

의존명사 ‘지’는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낸다. 여기서 ‘어떤 일이 있었던 때’는 마지막으로 있었던 때이다. “서울에 가본 지 오래되었다”고 하면 서울에 마지막으로 가본 때로부터 오래되었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런 표현에 긍정형과 부정형이 혼동되어 쓰이고 있다. “서울에 안 가본 지 오래되었다”도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필자에게 ‘그런 신문 안 본 지 오래됐습니다’라는 가시 돋친 말을 던지곤 했다.” 중앙 일간지 칼럼에서 잘라온 문장이다. ‘그런 신문 본 지’라고 해야 할 것을 ‘그런 신문 안 본 지’라고 하고 있다. 긍정형과 부정형이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다면 무언가 잘못된 것이다.

‘그런 신문’을 마지막으로 본 것이 200일 전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렇다면 ‘그런 신문 본 지 200일 됐습니다’ 하면 정확한 표현이다. 이 말을 부정형으로 하여 ‘그런 신문 안 본 지 200일 됐습니다’ 하면 왜 잘못된 표현일까? ‘안 본 지’라고 했기 때문에 안 본 마지막 날로부터 셈해야 하는데, 안 본 마지막 날은 어제다. 따라서 ‘안 본 지’ 하루밖에 안 된다. ‘본 지’ 오래된 것이지 ‘안 본 지’ 오래된 것이 아니다. 흔히 화용론을 들먹이면서 이런 잘못을 덮으려 하는데 안 될 일이다. 물론 화용론에서는 잘못된 말도 다룰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잘못된 말이라는 전제 속에서, 잘못된 말이라도 실제로 어떻게 소통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지, 잘못된 말을 용인하는 것은 아니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38
2006 돌팔이 風磬 2006.11.16 8119
2005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8123
2004 눈높이 바람의종 2008.04.09 8125
2003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8128
2002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28
2001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129
2000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9
1999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131
1998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33
1997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33
1996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35
1995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9
1994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39
1993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40
1992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41
1991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41
1990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144
1989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47
1988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148
1987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48
1986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49
1985 무꾸리 風磬 2006.11.26 81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