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4 02:51

몸알리

조회 수 790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몸알리

마음에서 마음으로 이어지는 넘나듦을 이르러 이심전심(以心傳心)이라 한다. 선종에서 선(禪)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전하는 수행의 건널목이랄까. 말하자면 마음을 집중하여 화두의 참뜻을 깨달음이 간화선(看話禪)의 길닦이다. 영취산(靈鷲山)에서 범왕이 석가에게 설법을 간청하며 연꽃을 바치자, 석가가 연꽃을 들어 많은 이들에게 보였다. 사람들은 그것이 무슨 뜻인지를 깨닫지 못하였다. 가섭(迦葉)만은 그 참뜻을 깨닫고 미소를 지었으니 이를 두고 염화미소(拈華微笑)라 한다. 이에 석가는, 가섭에게 사람이 본래 갖추고 있는 마음의 오묘한 덕인 정법안장(正法眼藏)과 번뇌와 안개 같은 갈등에서 벗어나 참 이치를 깨닫는 마음인 열반묘심(涅槃妙心), 삶과 죽음을 벗어버린 불변의 진리인 실상무상(實相無相), 진리를 깨닫는 마음인 미묘법문(微妙法門) 등의 길을 일러 주었다.

말을 하지 않고도 마음과 마음이 통하여 깨달음을 얻음이 이심전심. 선 수행의 근거와 방향을 제시하는 몸알리의 나들목이다. 몸알리(두시언해)가 무엇인가. 자신의 몸과 같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다. 이르자면 지기(知己)다. 앎의 뿌리는 몸이다. 몸은 우리의 얼이 담기는 소중한 그릇이어니.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991
1390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16
1389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17
1388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518
1387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3
1386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23
1385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6
1384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30
1383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33
1382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9
1381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41
1380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42
1379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44
1378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48
1377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49
1376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56
1375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63
1374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564
1373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69
1372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1
1371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71
1370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72
1369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