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4 02:51

몸알리

조회 수 791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몸알리

마음에서 마음으로 이어지는 넘나듦을 이르러 이심전심(以心傳心)이라 한다. 선종에서 선(禪)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전하는 수행의 건널목이랄까. 말하자면 마음을 집중하여 화두의 참뜻을 깨달음이 간화선(看話禪)의 길닦이다. 영취산(靈鷲山)에서 범왕이 석가에게 설법을 간청하며 연꽃을 바치자, 석가가 연꽃을 들어 많은 이들에게 보였다. 사람들은 그것이 무슨 뜻인지를 깨닫지 못하였다. 가섭(迦葉)만은 그 참뜻을 깨닫고 미소를 지었으니 이를 두고 염화미소(拈華微笑)라 한다. 이에 석가는, 가섭에게 사람이 본래 갖추고 있는 마음의 오묘한 덕인 정법안장(正法眼藏)과 번뇌와 안개 같은 갈등에서 벗어나 참 이치를 깨닫는 마음인 열반묘심(涅槃妙心), 삶과 죽음을 벗어버린 불변의 진리인 실상무상(實相無相), 진리를 깨닫는 마음인 미묘법문(微妙法門) 등의 길을 일러 주었다.

말을 하지 않고도 마음과 마음이 통하여 깨달음을 얻음이 이심전심. 선 수행의 근거와 방향을 제시하는 몸알리의 나들목이다. 몸알리(두시언해)가 무엇인가. 자신의 몸과 같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다. 이르자면 지기(知己)다. 앎의 뿌리는 몸이다. 몸은 우리의 얼이 담기는 소중한 그릇이어니.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4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23
1390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33
1389 낙점 바람의종 2007.06.09 8030
1388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8026
1387 서낭당 風磬 2006.12.29 8025
1386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23
1385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8020
1384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18
1383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17
138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17
1381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8013
1380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13
1379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8007
1378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8003
1377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90
1376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988
1375 망나니 風磬 2006.11.26 7988
1374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87
1373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86
1372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86
1371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80
1370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79
1369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