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1 20:28

긴장하다와 식반찬

조회 수 906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긴장하다와 식반찬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9년 8월18일에 세상을 떠나셨다. 타계한 대통령을 특별히 생각하게 되는 것은 2000년 6월의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기억 때문이다. 김정일 위원장이 우리 대통령에게 건넨 인사말 두 마디가 지금도 귓가에 생생하다. 6월13일 제1차 정상회담이 오후 3시에 있었는데, 이때 김정일 위원장이 우리 대통령에게 한 첫인사는 “오늘 아침부터 너무 긴장하지 않습니까?”였다.

‘긴장하다’는 우리 식으로 말하면 초등학교 운동회에서 100m 달리기 출발선에 선 학생의 심정으로 그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긴장하다’가 어떤 일을 위한 여건이나 환경이 어려울 때 쓰는 말이다. “전력 생산이 긴장하여 공장을 돌리기 어렵다”가 그 예이다. 그러니까 아침부터 일정이 너무 빠듯하여 힘들지 않으냐는 인사를 한 셈이다. 그 뒤 김 위원장은 “식반찬이 어땠느냐?”고 인사를 했는데, 이는 음식이 대체로 입에 맞았는지를 물은 것이다. 북한에서 정상회담을 위하여 특별히 준비한 음식은 ‘온반’과 ‘륙륙날개탕’이었다. ‘온반’은 ‘여러 가지를 곁들인 밥에 고기 국물을 부은 것’이었고, ‘륙륙날개탕’은 ‘메추리 고기로 만든 탕의 일종’으로 6월13일이 아닌 6월12일에 회담이 있을 것으로 생각해서 지어진 이름이었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91
1918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55
1917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50
1916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48
1915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145
1914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4
1913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143
1912 오랑캐 風磬 2007.01.19 9137
1911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34
1910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24
1909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23
1908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23
1907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21
1906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18
1905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13
1904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11
1903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0
1902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08
1901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08
1900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07
1899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05
1898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1897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0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