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1 20:28

긴장하다와 식반찬

조회 수 907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긴장하다와 식반찬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9년 8월18일에 세상을 떠나셨다. 타계한 대통령을 특별히 생각하게 되는 것은 2000년 6월의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기억 때문이다. 김정일 위원장이 우리 대통령에게 건넨 인사말 두 마디가 지금도 귓가에 생생하다. 6월13일 제1차 정상회담이 오후 3시에 있었는데, 이때 김정일 위원장이 우리 대통령에게 한 첫인사는 “오늘 아침부터 너무 긴장하지 않습니까?”였다.

‘긴장하다’는 우리 식으로 말하면 초등학교 운동회에서 100m 달리기 출발선에 선 학생의 심정으로 그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긴장하다’가 어떤 일을 위한 여건이나 환경이 어려울 때 쓰는 말이다. “전력 생산이 긴장하여 공장을 돌리기 어렵다”가 그 예이다. 그러니까 아침부터 일정이 너무 빠듯하여 힘들지 않으냐는 인사를 한 셈이다. 그 뒤 김 위원장은 “식반찬이 어땠느냐?”고 인사를 했는데, 이는 음식이 대체로 입에 맞았는지를 물은 것이다. 북한에서 정상회담을 위하여 특별히 준비한 음식은 ‘온반’과 ‘륙륙날개탕’이었다. ‘온반’은 ‘여러 가지를 곁들인 밥에 고기 국물을 부은 것’이었고, ‘륙륙날개탕’은 ‘메추리 고기로 만든 탕의 일종’으로 6월13일이 아닌 6월12일에 회담이 있을 것으로 생각해서 지어진 이름이었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30
1940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295
1939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294
1938 바람의종 2012.07.27 9289
1937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287
1936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7
1935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285
1934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83
1933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3
1932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277
1931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76
1930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273
1929 오랑캐 風磬 2007.01.19 9270
1928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70
1927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269
1926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67
1925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67
1924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66
1923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61
1922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61
1921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61
1920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60
1919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