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0 22:30

번역 투 문장

조회 수 726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역 투 문장

글을 읽다 보면 어쩐지 몸에 잘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어색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분명히 우리말인데도 우리말 같지 않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대부분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했을 때 그렇다. 이런 글을 흔히 ‘번역 투 문장’이라고 한다. 번역이라는 작업이 대단히 어려운 일이기는 하지만, 완벽하게 번역을 했다면 ‘번역 투 문장’이라는 말이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어쩐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만큼 번역이 설되었다고 할 것이다.

번역 투가 번역문에만 갇혀 있으면 그래도 좀 낫겠는데, 이런 투가 일반화되어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글에까지 끼어들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피동문의 남발이다. 우리말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능동문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원문이 피동문이어도 우리말로 옮길 때는 능동문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특훈교수는 최고 가운데 최고라는 영예와 함께 특전이 제공된다. 연봉을 30% 이상 더 받고 정년 후에도 비전임 교수로 계속 임용되는 혜택이 주어진다.”

신문 기사에서 잘라온 문장이다. 번역문도 아니고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기사인데도 ‘번역 투’가 느껴진다. ‘특전이 제공된다’는 ‘특전을 제공한다’로, ‘임용되는’은 ‘임용하는’으로, ‘혜택이 주어진다’는 ‘혜택을 준다’로 바꾸어서 읽어보면 뭔가 착 달라붙는 느낌이 들 것이다. ‘주어진다’ 같은 형태는 어법상 가능하다고는 해도 억지스럽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501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46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31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38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1020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779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90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682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567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1150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305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661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171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79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8054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366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46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1071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59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8000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37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25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