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0 22:30

번역 투 문장

조회 수 722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역 투 문장

글을 읽다 보면 어쩐지 몸에 잘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어색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분명히 우리말인데도 우리말 같지 않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대부분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했을 때 그렇다. 이런 글을 흔히 ‘번역 투 문장’이라고 한다. 번역이라는 작업이 대단히 어려운 일이기는 하지만, 완벽하게 번역을 했다면 ‘번역 투 문장’이라는 말이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어쩐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만큼 번역이 설되었다고 할 것이다.

번역 투가 번역문에만 갇혀 있으면 그래도 좀 낫겠는데, 이런 투가 일반화되어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글에까지 끼어들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피동문의 남발이다. 우리말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능동문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원문이 피동문이어도 우리말로 옮길 때는 능동문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특훈교수는 최고 가운데 최고라는 영예와 함께 특전이 제공된다. 연봉을 30% 이상 더 받고 정년 후에도 비전임 교수로 계속 임용되는 혜택이 주어진다.”

신문 기사에서 잘라온 문장이다. 번역문도 아니고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기사인데도 ‘번역 투’가 느껴진다. ‘특전이 제공된다’는 ‘특전을 제공한다’로, ‘임용되는’은 ‘임용하는’으로, ‘혜택이 주어진다’는 ‘혜택을 준다’로 바꾸어서 읽어보면 뭔가 착 달라붙는 느낌이 들 것이다. ‘주어진다’ 같은 형태는 어법상 가능하다고는 해도 억지스럽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05
1896 담비 바람의종 2009.11.15 10738
1895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44
1894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15
1893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553
1892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49
1891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46
1890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53
1889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60
1888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68
1887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79
1886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589
1885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73
1884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18
1883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413
1882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309
1881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29
1880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092
1879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46
1878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778
1877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14
1876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04
1875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