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0 22:30

번역 투 문장

조회 수 725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역 투 문장

글을 읽다 보면 어쩐지 몸에 잘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어색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분명히 우리말인데도 우리말 같지 않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대부분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했을 때 그렇다. 이런 글을 흔히 ‘번역 투 문장’이라고 한다. 번역이라는 작업이 대단히 어려운 일이기는 하지만, 완벽하게 번역을 했다면 ‘번역 투 문장’이라는 말이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어쩐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만큼 번역이 설되었다고 할 것이다.

번역 투가 번역문에만 갇혀 있으면 그래도 좀 낫겠는데, 이런 투가 일반화되어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글에까지 끼어들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피동문의 남발이다. 우리말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능동문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원문이 피동문이어도 우리말로 옮길 때는 능동문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특훈교수는 최고 가운데 최고라는 영예와 함께 특전이 제공된다. 연봉을 30% 이상 더 받고 정년 후에도 비전임 교수로 계속 임용되는 혜택이 주어진다.”

신문 기사에서 잘라온 문장이다. 번역문도 아니고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기사인데도 ‘번역 투’가 느껴진다. ‘특전이 제공된다’는 ‘특전을 제공한다’로, ‘임용되는’은 ‘임용하는’으로, ‘혜택이 주어진다’는 ‘혜택을 준다’로 바꾸어서 읽어보면 뭔가 착 달라붙는 느낌이 들 것이다. ‘주어진다’ 같은 형태는 어법상 가능하다고는 해도 억지스럽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5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912
1896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180
1895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79
1894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78
1893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78
1892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77
1891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76
1890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62
1889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60
1888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59
1887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8
1886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57
1885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155
1884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1
1883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51
1882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50
1881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49
188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44
1879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878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40
1877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39
1876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136
1875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