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0 22:30

번역 투 문장

조회 수 722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역 투 문장

글을 읽다 보면 어쩐지 몸에 잘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어색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분명히 우리말인데도 우리말 같지 않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대부분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했을 때 그렇다. 이런 글을 흔히 ‘번역 투 문장’이라고 한다. 번역이라는 작업이 대단히 어려운 일이기는 하지만, 완벽하게 번역을 했다면 ‘번역 투 문장’이라는 말이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어쩐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만큼 번역이 설되었다고 할 것이다.

번역 투가 번역문에만 갇혀 있으면 그래도 좀 낫겠는데, 이런 투가 일반화되어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글에까지 끼어들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피동문의 남발이다. 우리말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능동문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원문이 피동문이어도 우리말로 옮길 때는 능동문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특훈교수는 최고 가운데 최고라는 영예와 함께 특전이 제공된다. 연봉을 30% 이상 더 받고 정년 후에도 비전임 교수로 계속 임용되는 혜택이 주어진다.”

신문 기사에서 잘라온 문장이다. 번역문도 아니고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기사인데도 ‘번역 투’가 느껴진다. ‘특전이 제공된다’는 ‘특전을 제공한다’로, ‘임용되는’은 ‘임용하는’으로, ‘혜택이 주어진다’는 ‘혜택을 준다’로 바꾸어서 읽어보면 뭔가 착 달라붙는 느낌이 들 것이다. ‘주어진다’ 같은 형태는 어법상 가능하다고는 해도 억지스럽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44
1060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19
1059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16
1058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315
1057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15
1056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15
1055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09
1054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04
1053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304
1052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04
1051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01
1050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292
1049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288
1048 비지땀 風磬 2006.12.23 7287
1047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283
1046 바람의종 2008.08.21 7283
1045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2
1044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77
1043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275
1042 오늘은 왠지... 바람의종 2008.04.13 7274
104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273
1040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273
1039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2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