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0 22:30

번역 투 문장

조회 수 723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역 투 문장

글을 읽다 보면 어쩐지 몸에 잘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어색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분명히 우리말인데도 우리말 같지 않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대부분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했을 때 그렇다. 이런 글을 흔히 ‘번역 투 문장’이라고 한다. 번역이라는 작업이 대단히 어려운 일이기는 하지만, 완벽하게 번역을 했다면 ‘번역 투 문장’이라는 말이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어쩐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만큼 번역이 설되었다고 할 것이다.

번역 투가 번역문에만 갇혀 있으면 그래도 좀 낫겠는데, 이런 투가 일반화되어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글에까지 끼어들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피동문의 남발이다. 우리말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능동문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원문이 피동문이어도 우리말로 옮길 때는 능동문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특훈교수는 최고 가운데 최고라는 영예와 함께 특전이 제공된다. 연봉을 30% 이상 더 받고 정년 후에도 비전임 교수로 계속 임용되는 혜택이 주어진다.”

신문 기사에서 잘라온 문장이다. 번역문도 아니고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기사인데도 ‘번역 투’가 느껴진다. ‘특전이 제공된다’는 ‘특전을 제공한다’로, ‘임용되는’은 ‘임용하는’으로, ‘혜택이 주어진다’는 ‘혜택을 준다’로 바꾸어서 읽어보면 뭔가 착 달라붙는 느낌이 들 것이다. ‘주어진다’ 같은 형태는 어법상 가능하다고는 해도 억지스럽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03
1984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08
1983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09
1982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11
1981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13
1980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14
1979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15
1978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115
1977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15
1976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15
1975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16
1974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17
1973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18
1972 눈높이 바람의종 2008.04.09 8118
1971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20
1970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21
1969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122
1968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23
1967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25
1966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27
196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27
1964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28
1963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1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