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0 22:30

번역 투 문장

조회 수 725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역 투 문장

글을 읽다 보면 어쩐지 몸에 잘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어색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분명히 우리말인데도 우리말 같지 않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대부분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했을 때 그렇다. 이런 글을 흔히 ‘번역 투 문장’이라고 한다. 번역이라는 작업이 대단히 어려운 일이기는 하지만, 완벽하게 번역을 했다면 ‘번역 투 문장’이라는 말이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어쩐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만큼 번역이 설되었다고 할 것이다.

번역 투가 번역문에만 갇혀 있으면 그래도 좀 낫겠는데, 이런 투가 일반화되어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글에까지 끼어들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피동문의 남발이다. 우리말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능동문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원문이 피동문이어도 우리말로 옮길 때는 능동문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특훈교수는 최고 가운데 최고라는 영예와 함께 특전이 제공된다. 연봉을 30% 이상 더 받고 정년 후에도 비전임 교수로 계속 임용되는 혜택이 주어진다.”

신문 기사에서 잘라온 문장이다. 번역문도 아니고 처음부터 우리말로 쓴 기사인데도 ‘번역 투’가 느껴진다. ‘특전이 제공된다’는 ‘특전을 제공한다’로, ‘임용되는’은 ‘임용하는’으로, ‘혜택이 주어진다’는 ‘혜택을 준다’로 바꾸어서 읽어보면 뭔가 착 달라붙는 느낌이 들 것이다. ‘주어진다’ 같은 형태는 어법상 가능하다고는 해도 억지스럽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49
818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26
817 옴시레기 file 바람의종 2010.01.10 7189
»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55
815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바람의종 2010.01.09 6980
814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60
813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90
812 러닝셔츠 바람의종 2010.01.09 7684
811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7
810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55
809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75
808 꼽다시 바람의종 2010.01.08 10565
807 죽음을 이르는 말들 file 바람의종 2010.01.08 14292
806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52
805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617
804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73
803 덕아웃이 아니고 왜 더그아웃? 바람의종 2010.01.06 9621
802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98
801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236
800 보도시 한 절(술) 뜨고 file 바람의종 2010.01.06 5518
799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24
798 사람 file 바람의종 2009.12.21 11014
797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