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18 03:39

강추위

조회 수 768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추위

“눈보라를 동반한 강추위에 전국이 꽁꽁 얼어붙고 있습니다.” 날씨를 전하는 기상 캐스터의 말이다. ‘강추위’는 한자어 접두사 ‘강(强)-’에 ‘추위’가 결합한 말이다. 이 말은 최근에야 일부 사전에 올랐다. 이전에도 ‘강추위’라는 말은 있었지만 우리말 접두사 ‘강-’을 쓴 ‘강추위’였다. 일부 사전들은 최근 들어 이 두 말을 다른 뜻의 말로 사전에 올렸다.

‘강추위’는 ‘눈이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이고, ‘강(强)추위’는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다. 우리말 접두사 ‘강-’은 ‘호된’ 또는 ‘심한’의 뜻을 더한다. ‘강추위’는 몹시 매운 추위지만 ‘눈이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는’ 추위라고 했다. 어디서 이런 뜻이 왔을까? 접두사 ‘강-’에는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그것만으로 된’이라는 뜻이 따로 있다. ‘강바람, 강술, 강굴, 강조밥, 강풀’ 등으로 쓰인다. ‘강술’은 안주 없이 마시는 술, ‘강조밥’은 좁쌀만으로 지은 밥, ‘강풀’은 물에 개지 않은 풀이다. ‘꽁보리밥’도 ‘강보리밥’이 변한 말이다. 이 뜻까지 보태진 것이 ‘강추위’라고 보면 되겠다.

언론들이 ‘강-’을 ‘강(强)-’으로 해석하여 눈보라가 몰아치는 추위를 ‘강추위’라 했고, 언어대중들도 그렇게 받아들임에 따라 사전이 두 말을 구분하여 올렸다. 눈이 오거나 바람이 불거나 관계없이 매우 심한 추위라는 뜻의 ‘맹(猛)추위’가 있다. 두 ‘강추위’의 뜻을 아우르는 말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2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7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644
1280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45
1279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45
1278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43
1277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41
1276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39
1275 상무성 바람의종 2010.09.29 7736
1274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3
1273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33
1272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32
1271 다반사 바람의종 2007.06.20 7730
1270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27
1269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26
1268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23
1267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21
1266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19
1265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18
1264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716
1263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10
1262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04
1261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02
1260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01
1259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