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18 03:39

강추위

조회 수 7703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추위

“눈보라를 동반한 강추위에 전국이 꽁꽁 얼어붙고 있습니다.” 날씨를 전하는 기상 캐스터의 말이다. ‘강추위’는 한자어 접두사 ‘강(强)-’에 ‘추위’가 결합한 말이다. 이 말은 최근에야 일부 사전에 올랐다. 이전에도 ‘강추위’라는 말은 있었지만 우리말 접두사 ‘강-’을 쓴 ‘강추위’였다. 일부 사전들은 최근 들어 이 두 말을 다른 뜻의 말로 사전에 올렸다.

‘강추위’는 ‘눈이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이고, ‘강(强)추위’는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다. 우리말 접두사 ‘강-’은 ‘호된’ 또는 ‘심한’의 뜻을 더한다. ‘강추위’는 몹시 매운 추위지만 ‘눈이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는’ 추위라고 했다. 어디서 이런 뜻이 왔을까? 접두사 ‘강-’에는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그것만으로 된’이라는 뜻이 따로 있다. ‘강바람, 강술, 강굴, 강조밥, 강풀’ 등으로 쓰인다. ‘강술’은 안주 없이 마시는 술, ‘강조밥’은 좁쌀만으로 지은 밥, ‘강풀’은 물에 개지 않은 풀이다. ‘꽁보리밥’도 ‘강보리밥’이 변한 말이다. 이 뜻까지 보태진 것이 ‘강추위’라고 보면 되겠다.

언론들이 ‘강-’을 ‘강(强)-’으로 해석하여 눈보라가 몰아치는 추위를 ‘강추위’라 했고, 언어대중들도 그렇게 받아들임에 따라 사전이 두 말을 구분하여 올렸다. 눈이 오거나 바람이 불거나 관계없이 매우 심한 추위라는 뜻의 ‘맹(猛)추위’가 있다. 두 ‘강추위’의 뜻을 아우르는 말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56
1500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15
1499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411
1498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4968
1497 영부인 바람의종 2009.12.14 8270
1496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86
1495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47
1494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36
1493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74
»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03
1491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51
1490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697
1489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35
1488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73
1487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70
1486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77
1485 사람 file 바람의종 2009.12.21 10973
1484 총뿌리, 돌뿌리 바람의종 2009.12.23 11324
1483 눈꼬리 바람의종 2009.12.23 12994
1482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1
1481 보도시 한 절(술) 뜨고 file 바람의종 2010.01.06 5501
1480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89
1479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