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18 03:39

강추위

조회 수 772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추위

“눈보라를 동반한 강추위에 전국이 꽁꽁 얼어붙고 있습니다.” 날씨를 전하는 기상 캐스터의 말이다. ‘강추위’는 한자어 접두사 ‘강(强)-’에 ‘추위’가 결합한 말이다. 이 말은 최근에야 일부 사전에 올랐다. 이전에도 ‘강추위’라는 말은 있었지만 우리말 접두사 ‘강-’을 쓴 ‘강추위’였다. 일부 사전들은 최근 들어 이 두 말을 다른 뜻의 말로 사전에 올렸다.

‘강추위’는 ‘눈이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이고, ‘강(强)추위’는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다. 우리말 접두사 ‘강-’은 ‘호된’ 또는 ‘심한’의 뜻을 더한다. ‘강추위’는 몹시 매운 추위지만 ‘눈이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는’ 추위라고 했다. 어디서 이런 뜻이 왔을까? 접두사 ‘강-’에는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그것만으로 된’이라는 뜻이 따로 있다. ‘강바람, 강술, 강굴, 강조밥, 강풀’ 등으로 쓰인다. ‘강술’은 안주 없이 마시는 술, ‘강조밥’은 좁쌀만으로 지은 밥, ‘강풀’은 물에 개지 않은 풀이다. ‘꽁보리밥’도 ‘강보리밥’이 변한 말이다. 이 뜻까지 보태진 것이 ‘강추위’라고 보면 되겠다.

언론들이 ‘강-’을 ‘강(强)-’으로 해석하여 눈보라가 몰아치는 추위를 ‘강추위’라 했고, 언어대중들도 그렇게 받아들임에 따라 사전이 두 말을 구분하여 올렸다. 눈이 오거나 바람이 불거나 관계없이 매우 심한 추위라는 뜻의 ‘맹(猛)추위’가 있다. 두 ‘강추위’의 뜻을 아우르는 말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73
1280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78
1279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78
1278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777
1277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76
1276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75
1275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73
1274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70
1273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70
1272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68
1271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68
1270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767
1269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764
1268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62
1267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62
1266 멘토링 바람의종 2010.03.04 7760
1265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55
1264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755
1263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54
1262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53
1261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49
1260 상무성 바람의종 2010.09.29 7748
1259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7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